CSS / Flex / order / 아이템의 순서 정하는 속성

  • Flex로 아이템을 배치할 때, 입력한 순서대로 출력됩니다.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title>CSS</title>
    <style>
      body {
        box-sizing: border-box;
        margin: 0px;
        font-family: Consolas, monospace;
      }
      .jb-container {
        height: 100vh;
        background-color: #01579b;
        display: flex;
      }
      .jb-item {
        padding: 20px;
      }
      .jb-item:nth-child(1) {
        background-color: #e3f2fd;
      }
      .jb-item:nth-child(2) {
        background-color: #bbdefb;
        font-size: 2em;
      }
      .jb-item:nth-child(3) {
        background-color: #90caf9;
        font-size: 3em;
      }
    </style>
  </head>
  <body>
    <div class="jb-container">
      <div class="jb-item">Item 1</div>
      <div class="jb-item">Item 2</div>
      <div class="jb-item">Item 3</div>
    </div>
  </body>
</html>

  • 만약 내용을 변경하지 않고 출력 순서만 바꾸고 싶다면 order 속성을 사용합니다.
  • 기본값은 0이고, 작은 값이 있는 요소부터 출력합니다. 값이 같다면 입력한 순서대로 출력합니다.
.jb-item:nth-child(1) {
  background-color: #e3f2fd;
  order: 2;
}
.jb-item:nth-child(2) {
  background-color: #bbdefb;
  font-size: 2em;
  order: 3;
}
.jb-item:nth-child(3) {
  background-color: #90caf9;
  font-size: 3em;
  order: 1;
}

  • order 속성의 값으로 음수도 가능합니다. 특정 아이템을 앞으로 옮기고 싶을 때 유용합니다.
.jb-item:nth-child(1) {
  background-color: #e3f2fd;
}
.jb-item:nth-child(2) {
  background-color: #bbdefb;
  font-size: 2em;
}
.jb-item:nth-child(3) {
  background-color: #90caf9;
  font-size: 3em;
  order: -1;
}

Related Posts

CSS / position의 값이 fixed일 때 가운데 정렬하는 방법

CSS / position의 값이 fixed일 때 가운데 정렬하는 방법

position의 fixed를 이용하여 요소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상단에 고정되는 메뉴바를 만들 때 사용합니다. 그런데, fixed를 하면 요소가 한쪽으로 치우칩니다. 만약 가운데에 위치시키고 싶다면 어떻게 할까요? transform 속성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가운데에 위치한 두 요소가 있는 간단한 예제입니다.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

CSS / box-shadow / 박스에 그림자 효과 만드는 속성

CSS / box-shadow / 박스에 그림자 효과 만드는 속성

개요 box-shadow는 선택한 요소에 그림자 효과를 만들어주는 속성이다. 기본값 : none 상속 : No 애니메이션 : Yes 버전 : CSS Level 3 글자에 그림자 효과를 주고 싶다면 text-shadow를 사용한다. 문법 box-shadow: none | x-position y-position blur spread color | inset | initial | inherit none : 그림자 효과를 없앤다. x-position : 가로 위치이다. 양수면 오른쪽에, 음수면 왼쪽에 그림자가 만들어진다. (필수) y-position ...

CSS / text-indent / 들여쓰기, 내어쓰기 만드는 속성

CSS / text-indent / 들여쓰기, 내어쓰기 만드는 속성

text-indent 들여쓰기와 내어쓰기는 text-indent 속성으로 만듭니다. 값이 양수이면 들여쓰기, 값이 음수이면 내어쓰기가 됩니다. 기본값은 0입니다. 내어쓰기를 할 때는 왼쪽에 여백을 적절히 줍니다. 예제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title>CSS</title> <style> p { font-size: 20px; ...

CSS / border-style / 테두리 모양을 정하는 속성

CSS / border-style / 테두리 모양을 정하는 속성

개요 border-style은 테두리(border)의 모양을 정하는 속성입니다. 기본값 : none 상속 : No 애니메이션 : No 버전 : CSS Level 1 border-style은 border-top-style, border-right-style, border-bottom-style, border-left-style의 축약형입니다. 문법 border-style:none | hidden | dotted | dashed | solid | double | groove | ridge | inset | outset | initial | inherit initial : 기본값으로 설정합니다. inherit : 부모 요소의 속성값을 상속받습니다. initial과 ...

CSS / box-sizing / 박스의 크기를 어떤 것을 기준으로 계산할지를 정하는 속성

CSS / box-sizing / 박스의 크기를 어떤 것을 기준으로 계산할지를 정하는 속성

개요 box-sizing은 박스의 크기를 어떤 것을 기준으로 계산할지를 정하는 속성이다. 기본값 : content-box 상속 : No 애니메이션 : No 버전 : CSS Level 3 문법 box-sizing: content-box | border-box | initial | inherit content-box : 콘텐트 영역을 기준으로 크기를 정한다. border-box : 테두리를 기준으로 크기를 정한다. initial : 기본값으로 설정한다. inherit : 부모 요소의 속성값을 상속받는다. 예제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

CSS / quotes / 인라인 인용문의 기호를 꾸미는 속성

CSS / quotes / 인라인 인용문의 기호를 꾸미는 속성

q 태그는 문단 안에서 사용하는 인용문입니다. 기본 모양은 큰따옴표로 감싸는 것입니다. 간단한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title>CSS</title> </head> <body> <h1>Lorem <q>Ipsum</q> Dolor</h1> </body> </html> 인용문을 감싸는 큰따옴표를 다른 기호 또는 문자로 바꿔주는 것이 quotes 속성입니다. 예를 들어 ...

CSS / 표(table) 꾸미기 / 반응형 표 만들기

CSS / 표(table) 꾸미기 / 반응형 표 만들기

데이터를 잘 정리해서 보여줄 때 표를 이용한다. 표는 일정한 가로 크기를 갖고 있어야 보기 좋다. 그런데, 모바일 접속자를 위해서 가로 크기를 100%로 하면 문제가 발생한다. 다음은 가로 크기가 100%인 간단한 표이다.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title>CSS</title> <style> table { width: 100%; } td { padding: 20px; border: 1px solid #444444; } </style> </head> <body> <div> <table> <tr> <td>Lorem</td> <td>Ipsum</td> <td>Dolor</td> </tr> <tr> <td>Lorem</td> <td>Lorem Ipsum Dolor Lorem Ipsum Dolor</td> <td>Dolor</td> </tr> </table> </div> </body> </html> 웹브라우저의 가로 크기가 클 때는 ...

CSS / 도형 만들기 / 마름모

CSS / 도형 만들기 / 마름모

CSS로 마름모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마름모는 삼각형을 두 개 붙여서 만들 것이므로, 삼각형을 만드는 방법을 먼저 보시는 게 좋습니다. HTML 문서에 다음과 같이 내용이 없는 요소를 하나 넣습니다. <div class="rhombus"></div> 크기를 0으로 한 후, border 속성을 이용하여 삼각형을 만듭니다. position: relative;는 나머지 반쪽의 위치를 잡기 위해 넣은 것입니다. .rhombus { width: 0px; height: 0px; ...

CSS / Grid / 실전 예제

CSS / Grid / 실전 예제

높이가 같은 박스 만들기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title>CSS</title> <style> body { 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Consolas, monospace; ...

CSS / ul, ol 가운데 정렬하는 방법

CSS / ul, ol 가운데 정렬하는 방법

목록의 내용만 가운데 정렬하기 목록 자체가 아니라 목록 안의 내용만 가운데 정렬할 때는 text-align 속성을 사용합니다. ul { text-align: center; } 목록 요소 자체를 가운데 정렬하기 목록 요소 자체를 가운데 정렬할 때는 margin 속성을 사용합니다. ul, ol의 기본 가로 크기는 100%이므로, 가로 크기를 지정해줘야 가운데로 정렬됩니다. ul { width: 300px; margin-left: aut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