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S / font-size / 글자 크기 정하는 속성

개요

font-size는 글자 크기를 정하는 속성입니다.

  • 기본값 : medium
  • 상속 : Yes
  • 애니메이션 : Yes
  • 버전 : CSS Level 1

문법

font-size: medium | xx-small | x-small | small | large | x-large | xx-large | smaller | larger | length | initial | inherit
  • medium : 웹브라우저에서 정한 기본 글자크기입니다.
  • xx-small, x-small, small, large, x-large, xx-large : medium에 대한 상대적인 크기입니다.
  • smaller, larger : 부모 요소의 글자 크기에 대한 상대적인 글자 크기입니다.
  • length : px, %, em, rem 등으로 크기를 정합니다.
  • initial : 기본값으로 설정합니다.
  • inherit : 부모 요소의 속성값을 상속받습니다.

예제 1

  • medium, xx-small, x-small, small, large, x-large, xx-large로 글자 크기를 정한 예제입니다.
  • 웹브라우저의 기본 글자 크기를 바꾸면 예제의 글자 크기도 바뀝니다.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title>CSS</title>
    <style>
      .jb-xx-small { font-size: xx-small; }
      .jb-x-small { font-size: x-small; }
      .jb-small { font-size: small; }
      .jb-medium { font-size: medium; }
      .jb-large { font-size: large; }
      .jb-x-large { font-size: x-large; }
      .jb-xx-large { font-size: xx-large; }
    </style>
  </head>
  <body>
    <p class="jb-xx-small">Lorem ipsum dolor sit amet. : <code>xx-small</code></p>
    <p class="jb-x-small">Lorem ipsum dolor sit amet. : <code>x-small</code></p>
    <p class="jb-small">Lorem ipsum dolor sit amet. : <code>small</code></p>
    <p class="jb-medium">Lorem ipsum dolor sit amet. : <code>medium</code></p>
    <p class="jb-large">Lorem ipsum dolor sit amet. : <code>large</code></p>
    <p class="jb-x-large">Lorem ipsum dolor sit amet. : <code>x-large</code></p>
    <p class="jb-xx-large">Lorem ipsum dolor sit amet. : <code>xx-large</code></p>
  </body>
</html>

예제 2

  • smaller, larger로 글자 크기를 정한 예제입니다.
  • 부모 요소의 글자 크기가 변하면 자식 요소의 글자 크기도 변합니다.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title>CSS</title>
    <style>
      .jb-default-1 { font-size: 16px; }
      .jb-default-2 { font-size: 32px; }
      .jb-smaller { font-size: smaller; }
      .jb-larger { font-size: larger; }
    </style>
  </head>
  <body>
    <p class="jb-default-1">
      <span>Lorem ipsum dolor sit amet.</span>
      <span class="jb-smaller">Lorem ipsum dolor sit amet.</span>
      <span class="jb-larger">Lorem ipsum dolor sit amet.</span>
    </p>
    <p class="jb-default-2">
      <span>Lorem ipsum dolor sit amet.</span>
      <span class="jb-smaller">Lorem ipsum dolor sit amet.</span>
      <span class="jb-larger">Lorem ipsum dolor sit amet.</span>
    </p>
  </body>
</html>

예제 3

  • px, %, em, rem을 이용하여 글자 크기를 정하는 예제입니다.
  • 웹브라우저의 기본 글자 크기는 보통 16px와 같습니다.
  • %와 em은 부모 요소의 글자 크기에 대한 상대적인 글자 크기입니다. 100%와 1em은 부모 요소의 글자 크기와 같고, 숫자가 커질수록 글자가 커지고, 숫자가 작아질수록 글자가 작아집니다.
  • rem은 최상위 요소, 즉 html 요소의 글자 크기에 대한 상대적인 글자 크기입니다.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title>CSS</title>
    <style>
      html { font-size: 32px; }
      .jb-default { font-size: 16px; }
      .jb-percentage { font-size: 150%; }
      .jb-em { font-size: 1.5em; }
      .jb-rem { font-size: 1.5rem; }
    </style>
  </head>
  <body>
    <div class="jb-default">
      <p>Lorem ipsum dolor sit amet.</p>
      <p class="jb-percentage">Lorem ipsum dolor sit amet.</p>
      <p class="jb-em">Lorem ipsum dolor sit amet.</p>
      <p class="jb-rem">Lorem ipsum dolor sit amet.</p>
    </div>
  </body>
</html>

브라우저 지원

  • Chrome : 1.0+
  • Firefox : 1.0+
  • Internet Explorer : 5.5+
  • Opera : 7.0+
  • Safari : 1.0+

Related Posts

CSS / text-decoration / 선으로 텍스트를 꾸미는 속성

CSS / text-decoration / 선으로 텍스트를 꾸미는 속성

개요 text-decoration은 선으로 텍스트를 꾸밀 수 있게 해주는 속성입니다. 기본값 : none 상속 : No 애니메이션 : No 버전 : CSS Level 1 문법 text-decoration: none | line-through | overline | underline | initial | inherit none : 선을 만들지 않습니다. line-through : 글자 중간에 선을 만듭니다. overline : 글자 위에 선을 만듭니다. underline : 글자 아래에 선을 만듭니다. initial : 기본값으로 ...

CSS / background-position / 배경 이미지의 위치를 정하는 속성

CSS / background-position / 배경 이미지의 위치를 정하는 속성

개요 background-position은 배경 이미지의 위치를 정하는 속성입니다. 기본값 : 0% 0% 상속 : No 애니메이션 : Yes 버전 : CSS Level 1 문법 background-position: x-position y-position | initial | inherit x-position y-position : 가로 위치와 세로 위치를 정합니다. initial : 기본값으로 설정합니다. inherit : 부모 요소의 속성값을 상속받습니다. 위치 값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로 위치 값 : left, center, right, 백분율, 길이 세로 위치 ...

CSS / backface-visibility / 요소의 뒷쪽에서 앞면이 보이게 할지 정하는 속성

CSS / backface-visibility / 요소의 뒷쪽에서 앞면이 보이게 할지 정하는 속성

backface-visibility backface-visibility는 요소의 뒷쪽에서 앞면이 보이게 할지 정하는 속성입니다. 기본값 : visible 상속 : No 애니메이션 : No 버전 : CSS Level 3 문법 backface-visibility: visible | hidden | initial | inherit visible : 보이게 합니다. 기본값입니다. hidden : 보이지 않게 합니다. initial : 기본값으로 설정합니다. inherit : 부모 요소의 속성값을 상속받습니다. 예제 체크박스에 체크하면 박스가 180도 회전합니다. 첫 번째 박스는 앞면이 보이고, 두 번째 박스는 ...

CSS / 표(table) 꾸미기 / 틀 고정(행 또는 열 고정) 만들기

CSS / 표(table) 꾸미기 / 틀 고정(행 또는 열 고정) 만들기

엑셀에 틀 고정이라는 기능이 있다. 틀 고정을 사용하면 상하 또는 좌우로 스크롤해도 항상 보이는 행 또는 열을 만들 수 있다. CSS로도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사용하는 속성은 display: sticky이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표가 있다고 하자.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

CSS / 세로 가운데 정렬하는 방법

CSS / 세로 가운데 정렬하는 방법

CSS에서 텍스트의 가로 가운데 정렬은 text-align 속성을 이용합니다. text-align: center; 요소의 가로 가운데 정렬은 margin 속성을 이용합니다.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그렇다면 다음처럼 세로 정렬을 가운데로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방법 1 - padding 속성 이용하기 바깥쪽 요소에 padding 속성을 추가해서 세로 정렬을 가운데로 할 수 있습니다.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

CSS / font-weight / 글자 굵기 정하는 속성

CSS / font-weight / 글자 굵기 정하는 속성

개요 font-weight로 글자의 굵기를 정한다. 기본값 : normal 상속 : Yes 애니메이션 : Yes 버전 : CSS Level 1 문법 font-weight: normal | bold | bolder | lighter | number | initial | inherit normal : 보통 굵기이다. 숫자 400과 같다. bold : 굵은 굵기이다. 숫자 700과 같다. bolder : 상속된 값보다 굵은 굵기다. lighter : 상속된 값보다 얇은 굵기이다. number : ...

CSS / 유튜브 동영상 반응형으로 삽입하는 방법

CSS / 유튜브 동영상 반응형으로 삽입하는 방법

유튜브 영상을 블로그나 홈페이지에 넣을 때 보통 iframe을 사용한다. 코드는 유튜브 영상 공유에서 를 클릭하여 구할 수 있다. 아래와 같은 코드인데, 고정폭이다. 즉 웹브라우저의 가로폭이 커지든 작아지든 가로폭이 일정하다.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ybhXVSAdIRE"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allowfullscreen></iframe> 이를 반응형으로 만들고 싶다면 아래처럼 한다. 16:9 크기의 div로 감싸고, iframe에 style을 추가하여 ...

CSS / z-index / 요소의 수직 위치 정하는 속성

CSS / z-index / 요소의 수직 위치 정하는 속성

z-index position 속성을 이용하면 요소를 겹치게 놓을 수 있습니다. 이때 요소들의 수직 위치를 z-index 속성으로 정합니다. 값은 정수이며, 숫자가 클 수록 위로 올라오고, 숫자가 작을 수록 아래로 내려갑니다. 예제 1 세 개의 div 요소를 겹치게 배치했습니다. 코드 상 나중에 입력한 것일 수록 위로 올라옵니다.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title>CSS</title> <style> div { width: 100px; height: 100px; position: absolute; } div.x { background-color: #2196F3; top: ...

CSS / clip / 요소의 특정 부분만 보이게 하는 속성

CSS / clip / 요소의 특정 부분만 보이게 하는 속성

개요 clip 속성으로 요소의 특정 부분만 나오도록 할 수 있습니다. 기본값 : auto 상속 : No 애니메이션 : Yes 버전 : CSS Level 2 문법 clip: auto | shape | initial | inherit auto : 요소의 모든 부분이 나옵니다. shape : 특정 부분이 나오도록 합니다. initial : 기본값으로 설정합니다. inherit : 부모 요소의 속성값을 상속받습니다. 특정 부분만 나오게 할 때는 다음과 같은 코드로 나오는 ...

CSS / 변수 사용하기

CSS / 변수 사용하기

CSS 변수 CSS에 변수를 만들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변수를 이용하면 여러 값을 한 번에 변경할 수 있습니다. 변수 선언 --variable-name: value; 변수를 정의하면, 변수를 정의한 요소와 그 하위 요소에서 그 변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만약 어느 곳에서나 사용할 수 있게 하려면 :root에 정의합니다. 변수 사용 property: var( --variable-name ) 예제 기본 변수 --my-color-1을 red로 설정하고 사용합니다.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title>CSS</title> <style> :roo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