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S / font-weight / 글자 굵기 정하는 속성

개요

font-weight로 글자의 굵기를 정한다.

  • 기본값 : normal
  • 상속 : Yes
  • 애니메이션 : Yes
  • 버전 : CSS Level 1

문법

font-weight: normal | bold | bolder | lighter | number | initial | inherit
  • normal : 보통 굵기이다. 숫자 400과 같다.
  • bold : 굵은 굵기이다. 숫자 700과 같다.
  • bolder : 상속된 값보다 굵은 굵기다.
  • lighter : 상속된 값보다 얇은 굵기이다.
  • number :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 initial : 기본값으로 설정한다.
  • inherit : 부모 요소의 값을 상속받는다.

예제 1

  • 나타낼 수 있는 굵기는 글꼴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어, 본고딕(Noto Sans CJK KR)이 맑은 고딕(Malgun Gothic)보다 표현할 수 있는 굵기가 더 많다.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title>CSS</title>
    <style>
      table {
        width: 100%;
      }
      th {
        text-align: left;
        color: blue;
      }
      td {
        vertical-align: top;
      }
      .jb-font-1 {
        font-family: "Malgun Gothic";
      }
      .jb-font-2 {
        font-family: "Noto Sans CJK KR";
      }
      .jb-normal {
        font-weight: normal;
      }
      .jb-bold {
        font-weight: bold;
      }
      .jb-100 {
        font-weight: 100;
      }
      .jb-200 {
        font-weight: 200;
      }
      .jb-300 {
        font-weight: 300;
      }
      .jb-400 {
        font-weight: 400;
      }
      .jb-500 {
        font-weight: 500;
      }
      .jb-600 {
        font-weight: 600;
      }
      .jb-700 {
        font-weight: 700;
      }
      .jb-800 {
        font-weight: 800;
      }
      .jb-900 {
        font-weight: 900;
      }
    </style>
  </head>
  <body>
    <table>
      <tr>
        <th>Malgun Gothic</th>
        <th>Noto Sans CJK KR</th>
      </tr>
      <tr>
        <td class="jb-font-1">
          <p class="jb-normal">font-weight normal - Lorem Ipsum Dolor</p>
          <p class="jb-bold">font-weight bold - Lorem Ipsum Dolor</p>
          <p class="jb-100">font-weight 100 - Lorem Ipsum Dolor</p>
          <p class="jb-200">font-weight 200 - Lorem Ipsum Dolor</p>
          <p class="jb-300">font-weight 300 - Lorem Ipsum Dolor</p>
          <p class="jb-400">font-weight 400 - Lorem Ipsum Dolor</p>
          <p class="jb-500">font-weight 500 - Lorem Ipsum Dolor</p>
          <p class="jb-600">font-weight 600 - Lorem Ipsum Dolor</p>
          <p class="jb-700">font-weight 700 - Lorem Ipsum Dolor</p>
          <p class="jb-800">font-weight 800 - Lorem Ipsum Dolor</p>
          <p class="jb-900">font-weight 900 - Lorem Ipsum Dolor</p>
        </td>
        <td class="jb-font-2">
          <p class="jb-normal">font-weight normal  - Lorem Ipsum Dolor</p>
          <p class="jb-bold">font-weight bold - Lorem Ipsum Dolor</p>
          <p class="jb-100">font-weight 100 - Lorem Ipsum Dolor</p>
          <p class="jb-200">font-weight 200 - Lorem Ipsum Dolor</p>
          <p class="jb-300">font-weight 300 - Lorem Ipsum Dolor</p>
          <p class="jb-400">font-weight 400 - Lorem Ipsum Dolor</p>
          <p class="jb-500">font-weight 500 - Lorem Ipsum Dolor</p>
          <p class="jb-600">font-weight 600 - Lorem Ipsum Dolor</p>
          <p class="jb-700">font-weight 700 - Lorem Ipsum Dolor</p>
          <p class="jb-800">font-weight 800 - Lorem Ipsum Dolor</p>
          <p class="jb-900">font-weight 900 - Lorem Ipsum Dolor</p>
        </td>
      </tr>
    </table>
  </body>
</html>

예제 2

bolderlighter는 상속된 값에 따라 다른 굵기로 나온다. 다음은 상속된 굵기가 300일 때와 700일 때, bolderlighter가 어떻게 나오는지 비교하는 예제이다.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title>CSS</title>
    <style>
      body {
        font-family: "Noto Sans CJK KR";
      }
      .jb-300 {
        font-weight: 300;
      }
      .jb-700 {
        font-weight: 700;
      }
      .jb-bolder {
        font-weight: bolder;
      }
      .jb-lighter {
        font-weight: lighter;
      }
    </style>
  </head>
  <body>
    <div class="jb-300">
      <p>font weight 300 - Lorem Ipsum Dolor</p>
      <p class="jb-bolder">font weight bolder - Lorem Ipsum Dolor</p>
      <p class="jb-lighter">font weight lighter - Lorem Ipsum Dolor</p>
    </div>
    <div class="jb-700">
      <p>font weight 700 - Lorem Ipsum Dolor</p>
      <p class="jb-bolder">font weight bolder - Lorem Ipsum Dolor</p>
      <p class="jb-lighter">font weight lighter - Lorem Ipsum Dolor</p>
    </div>
  </body>
</html>

Related Posts

CSS / CSS로 드롭다운(Dropdown) 메뉴 만들기

CSS / CSS로 드롭다운(Dropdown) 메뉴 만들기

CSS만으로 만든 드롭다운 메뉴입니다. Ipsum, Dolor에 마우스를 올리면 하위 메뉴가 나옵니다.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title>CSS Tips | Dropdown Menu</title> <style> .dropdown > ul > li { ...

CSS / text-align / 문단 정렬하는 속성

CSS / text-align / 문단 정렬하는 속성

text-align 문단 정렬 방식을 정하는 속성은 text-align입니다. 속성의 값은 다음과 같습니다. left : 왼쪽 정렬 right : 오른쪽 정렬 center : 가운데 정렬 justify : 양쪽 정렬 initial : 기본값으로 설정 inherit : 부모 요소의 속성값을 상속 받음 예제 첫 번째 문단은 왼쪽 정렬입니다. 두 번째 문단은 오른쪽 정렬입니다. 세 번째 문단은 가운데 정렬입니다. 네 번째 문단은 양쪽 정렬입니다. 양쪽 모두를 가지런하게 ...

CSS / CSS를 HTML에 적용시키는 방법

CSS / CSS를 HTML에 적용시키는 방법

HTML에 CSS를 적용시키는 방법은 세가지가 있다. 각 방법은 장단점이 있으니 상황에 맞게 적절한 방법을 선태한다. Inline Style Sheet HTML 태그의 style 속성에 CSS 코드를 넣는 방법입니다. Internal Style Sheet HTML 문서 안의 <style>과 </style> 안에 CSS 코드를 넣는 방법입니다. Linking Style Sheet 별도의 CSS 파일을 만들고 HTML 문서와 연결하는 방법입니다. 일반적으로 Linking Style Sheet을 기본으로 사용하고, 특정 ...

CSS / font-family / 글꼴 정하는 속성

CSS / font-family / 글꼴 정하는 속성

개요 font-family는 글꼴을 설정하는 속성이다. 기본값 : 웹브라우저의 기본 글꼴 상속 : Yes 애니메이션 : No 버전 : CSS Level 1 문법 font-family: font | initial | inherit font : family-name 또는 generic-family initial : 기본값으로 설정 inherit : 부모 요소의 속성값을 상속받음 font family-name은 글꼴 이름이다. 글꼴 이름에 띄어쓰기가 있으면 작은 따옴표 또는 큰 따옴표로 감싼다. generic-family는 글꼴 유형이다. 글꼴 유형은 다음과 ...

CSS / 기초 / !important

CSS / 기초 / !important

CSS는 같은 속성을 여러 번 정의했을 때, 나중에 설정한 값이 적용된다. 만약 나중에 설정한 값이 적용되지 않게 하려면 속성값 뒤에 !important를 붙인다. property: value !important; 예를 들어 다음은 마지막에 설정한 color의 값이 blue이므로, red는 무시하고 문단의 글자색을 파란색으로 만든다. p { color: red; } p { color: blue; } 하지만 다음은 red에 !important가 있으므로 문단의 ...

CSS / text-transform / 대문자로 또는 소문자로 바꾸는 속성

CSS / text-transform / 대문자로 또는 소문자로 바꾸는 속성

개요 text-transform은 대문자로 또는 소문자로 바꾸는 속성입니다. 기본값 : none 상속 : Yes 버전 : CSS Level 1 한글에서는 의미가 없는 속성입니다. 문법 text-transform: none | capitalize | uppercase | lowercase | initial | inherit none : 입력된 그대로 출력합니다. capitalize : 단어의 첫번째 글자를 대문자로 바꿉니다. uppercase : 모든 글자를 대문자로 바꿉니다. lowercase : 모든 글자를 소문자로 바꿉니다. initial : 기본값으로 ...

CSS / 상대적인 크기를 정하는 em 단위와 rem 단위의 차이

CSS / 상대적인 크기를 정하는 em 단위와 rem 단위의 차이

CSS의 길이 단위 중 em과 rem은 상대적으로 크기를 정합니다. em - 상위 요소 기준 em 단위는 상위 요소 크기의 몇 배인지로 크기를 정합니다. 예를 들어 font-size: 1.5em; 은 글자 크기를 상위 요소 크기의 1.5배로 하겠다는 뜻입니다. 간단한 예제를 만들어보겠습니다.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title>CSS</title> ...

CSS / 애니메이션 / transform / 회전, 확대, 축소, 비틀기 등 형태 변형하는 속성

CSS / 애니메이션 / transform / 회전, 확대, 축소, 비틀기 등 형태 변형하는 속성

CSS3의 transform 속성으로 요소를 회전하거나 확대/축소하거나 비트는 등 형태를 변형할 수 있습니다. IE는 버전 10 이상부터 지원한다는 것에 주의합니다. transform / rotate transform의 rotate로 요소를 회전시킬 수 있습니다. 문법 transform: rotate( angle ) transform: rotateX( angle ) transform: rotateY( angle ) angle에는 각의 크기를 입력합니다. 단위는 deg, rad, grad, turn 등을 사용합니다. turn은 1회전, 즉 360deg를 의미합니다. 예제 마우스를 올렸을 때 회전합니다. 회전하는 ...

CSS / 변수 사용하기

CSS / 변수 사용하기

CSS 변수 CSS에 변수를 만들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변수를 이용하면 여러 값을 한 번에 변경할 수 있습니다. 변수 선언 --variable-name: value; 변수를 정의하면, 변수를 정의한 요소와 그 하위 요소에서 그 변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만약 어느 곳에서나 사용할 수 있게 하려면 :root에 정의합니다. 변수 사용 property: var( --variable-name ) 예제 기본 변수 --my-color-1을 red로 설정하고 사용합니다.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title>CSS</title> <style> :root ...

CSS / background-attachment / 배경 이미지의 스크롤 여부를 정하는 속성

CSS / background-attachment / 배경 이미지의 스크롤 여부를 정하는 속성

개요 background-attachment로 배경 이미지의 스크롤 여부를 정합니다. 기본값 : scroll 상속 : No 애니메이션 : No 버전 : CSS Level 1 문법 background-attachment: scroll | fixed | local | initial | inherit scroll : 선택한 요소와 같이 움직입니다. 내용을 스크롤하면 배경 이미지는 스크롤되지 않습니다. fixed : 움직이지 않습니다. local : 선택한 요소와 같이 움직입니다. 내용을 스크롤하면 배경 이미지도 스크롤됩니다. initial : 기본값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