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S / 양쪽 배분(균등 분할) 정렬 방법

문단 정렬을 양끝으로 꽉차게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한글에서는 배분 정렬, 워드에서는 균등 분할이라고 합니다. 일반적인 문단에서는 거의 사용하지 않고, 표에서 제목을 넣을 때 많이 사용합니다.

하지만 CSS에는 그러한 정렬이 없습니다. text-align 속성의 justify가 있지만, 그건 빈 공간을 늘려서 양 끝으로 맞추는 게 아닙니다. 간단한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title>CSS</title>
    <style>
      table {
        border: 1px solid #cccccc;
      }
      th, td {
        padding: 10px 20px;
        border: 1px solid #cccccc;
      }
      th {
        text-align: justify;
      }
    </style>
  </head>
  <body>
    <table>
      <tr>
        <th>이 름</th>
        <td>홍 길 동</td>
      </tr>
      <tr>
        <th>이 메 일 주 소</th>
        <td>gd@aaa.com</td>
      </tr>
      <tr>
        <th>이 동 통 신</th>
        <td>010-1111-1111</td>
      </tr>
    </table>
  </body>
</html>

이름, 이동통신 같은 것을 이메일주소처럼 양끝에 맞춤을 하고 싶다면 트릭을 써야 합니다. justify 정렬 상태에서 줄바꿈이 생기면 단어 사이의 간격이 늘어나는 성질을 이용합니다.

th:after {
  content: "";
  display: inline-block;
  width: 100%;
}

정렬은 원하는 형태로 만들어졌지만, 아래쪽에만 여백이 생기므로 위에도 넣어줍니다.

th:before {
  content: "";
  display: inline-block;
  width: 100%;
}

의도하지 않은 여백은 line-height 속성으로 조정합니다.

th {
  text-align: justify;
  line-height: 0;
}

주의할 점은, 양쪽 배분 정렬을 위해서는 글자 사이에 공백이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즉, [이름]이 아니라 [이 름]이라고 해야 합니다.

Related Posts

CSS / ul, ol 가운데 정렬하는 방법

CSS / ul, ol 가운데 정렬하는 방법

목록의 내용만 가운데 정렬하기 목록 자체가 아니라 목록 안의 내용만 가운데 정렬할 때는 text-align 속성을 사용합니다. ul { text-align: center; } 목록 요소 자체를 가운데 정렬하기 목록 요소 자체를 가운데 정렬할 때는 margin 속성을 사용합니다. ul, ol의 기본 가로 크기는 100%이므로, 가로 크기를 지정해줘야 가운데로 정렬됩니다. ul { width: 300px; margin-left: auto; ...

CSS / font-weight / 글자 굵기 정하는 속성

CSS / font-weight / 글자 굵기 정하는 속성

개요 font-weight로 글자의 굵기를 정한다. 기본값 : normal 상속 : Yes 애니메이션 : Yes 버전 : CSS Level 1 문법 font-weight: normal | bold | bolder | lighter | number | initial | inherit normal : 보통 굵기이다. 숫자 400과 같다. bold : 굵은 굵기이다. 숫자 700과 같다. bolder : 상속된 값보다 굵은 굵기다. lighter : 상속된 값보다 얇은 굵기이다. number : ...

CSS / Flex / align-items

CSS / Flex / align-items

align-items로 교차축(cross axis) 아이템 정렬을 정합니다. 예를 들어 flex-direction의 값이 row인 경우 수직 정렬을 정합니다. 아래는 flex-direction: row일 때의 예제입니다. 기본값은 stretch로, 콘테이너의 높이에 맞게 늘립니다.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title>CSS</title> <style> body { ...

CSS / background-image / 배경 이미지 정하는 속성

CSS / background-image / 배경 이미지 정하는 속성

개요 background-image는 이미지를 배경으로 사용하게 하는 속성입니다. 기본값 : none 상속 : No 애니메이션 : No 버전 : CSS Level 1 문법 background-image: none | url | initial | inherit none : 이미지를 배경으로 사용하지 않습니다. url : 이미지의 URL을 입력합니다. initial : 기본값으로 설정합니다. inherit : 부모 요소의 속성값을 상속받습니다. 왼쪽 위에서 시작하여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으로 해당 요소를 다 채울 때까지 반복되어 ...

CSS / Flex / 정가운데 배치하기

CSS / Flex / 정가운데 배치하기

justify-content, align-items 속성을 이용하여 안쪽 요소를 바깥쪽 요소의 정가운데에 배치할 수 있습니다.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title>CSS</title> <style> body { box-sizing: border-box; ...

CSS / Flex / justify-content

CSS / Flex / justify-content

justify-content로 flex-direction으로 정한 방향으로의 정렬을 정합니다. 예를 들어 flex-direction의 값이 row라면 가로 방향의 정렬을 정합니다. 기본값은 flex-start로 시작점부터 아이템을 배치합니다.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title>CSS</title> <style> * { ...

CSS / 표(table) 꾸미기 / 정렬하기

CSS / 표(table) 꾸미기 / 정렬하기

표와 관련된 정렬 표와 관련된 정렬에는 표 정렬, 셀 안의 내용 가로 정렬, 셀 안의 내용 세로 정렬이 있습니다. 기본 모양은 표 : 왼쪽 정렬 제목 셀(th) 안의 내용 가로 정렬 : 가운데 정렬 내용 셀(td) 안의 내용 세로 정렬 : 왼쪽 정렬 셀 안의 내용 세로 정렬 : 가운데 정렬 입니다.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

CSS / 배경색만 투명하게 만들기

CSS / 배경색만 투명하게 만들기

배경과 내용의 투명도 CSS의 opacity 속성으로 요소의 투명도를 정할 수 있습니다. opacity 속성은 선택한 요소의 배경과 내용 모두를 투명하게 만듭니다. 간단한 예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title>CSS</title> <style> div { ...

CSS / IE에서 표의 셀 안의 이미지 크기 설정하는 방법

CSS / IE에서 표의 셀 안의 이미지 크기 설정하는 방법

표의 셀 안에 200x200 크기의 이미지를 넣고, 셀의 가로 크기를 100px로 정해도, 이미지는 200x200 크기로 나옵니다. 셀의 크기에 맞게 이미지가 줄어들게 하는 방법은 두가지가 있습니다.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title>CSS</title> <style> table { ...

CSS / calc() - 속성값을 사칙연산으로 정할 수 있게 하는 함수

CSS / calc() - 속성값을 사칙연산으로 정할 수 있게 하는 함수

개요 calc()는 괄호 안의 식을 계산한 결과를 속성값으로 사용하게 해주는 함수입니다. 예를 들어 font-size: calc( 10px + 10px ); 는 글자 크기를 20px로 만듭니다. 버전 : CSS Level 3 문법 연산자 +는 덧셈, -는 뺄셈, *는 곱셈, /는 나눗셈입니다. 곱셈과 나눗셈의 좌우에는 공백이 없어도 됩니다. 하지만, 덧셈과 뺄셈의 좌우에는 공백이 있어야 합니다. 계산 순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계산합니다. 곱셈과 나눗셈을 먼저 하고, 덧셈과 뺄셈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