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S / Tutorial / 변수 사용하는 방법

CSS 변수

CSS에 변수를 만들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변수를 이용하면 여러 값을 한 번에 변경할 수 있습니다.

변수 선언

--variable-name: value;

변수를 정의하면, 변수를 정의한 요소와 그 하위 요소에서 그 변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만약 어느 곳에서나 사용할 수 있게 하려면 :root에 정의합니다.

변수 사용

property: var( --variable-name )

예제 - 기본

  • 변수 --my-color-1을 red로 설정하고 사용합니다.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title>CSS</title>
		<style>
			:root {
				--my-color-1: red;
			}
			.x {
				color: var( --my-color-1 );
			}
		</style>
	</head>
	<body>
		<h1 class="x">Lorem Ipsum Dolor</h1>
	</body>
</html>

예제 - 정의하지 않은 변수

  • 정의하지 않은 변수를 사용하면, 그 속성을 사용하지 않은 것과 같은 효과를 냅니다.
<style>
	:root {
		--my-color-1: red;
	}
	.x {
		color: var( --my-color-2 );
	}
</style>

  • 변수가 정의되지 않았을 때 사용할 값을 정할 수 있습니다.
  • --my-color-2가 정의되지 않았으므로 orange가 사용됩니다.
<style>
	:root {
		--my-color-1: red;
	}
	.x {
		color: var( --my-color-2, orange );
	}
</style>

예제 - 특정 선택자에 변수 선언

  • 특정 선택자에 변수를 선언하면 그 선택자가 적용되는 요소와 그 하위 요소에서 변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x에 정의된 --my-color-1은 .y에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title>CSS</title>
<style>
	.x {
		--my-color-1: red;
	}
	.x span {
		color: var( --my-color-1 );
	}
	.y {
		color: var( --my-color-1 );
	}
</style>
	</head>
	<body>
		<h1 class="x"><span>Lorem Ipsum Dolor</span></h1>
		<h1 class="y">Lorem Ipsum Dolor</h1>
	</body>
</html>

같은 카테고리의 다른 글
CSS / Tutorial / 표 꾸미기 / 테두리

CSS / Tutorial / 표 꾸미기 / 테두리

테두리는 border 속성으로 만듭니다. table, th, td 요소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tr 요소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CSS / Tutorial / 상속(inheritance)

CSS / Tutorial / 상속(inheritance)

CSS 속성은 상속하는 속성과 상속하지 않는 속성이 있습니다. 상속하는 속성은 자식 요소에 영향을 미칩니다. 상속하지 않는 속성은 자식 요소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CSS / Tutorial / CSS를 HTML에 적용시키는 방법

CSS / Tutorial / CSS를 HTML에 적용시키는 방법

HTML에 CSS를 적용시키는 방법은 세 가지가 있습니다. 각 방법은 장단점이 있으니 상황에 맞게 적절한 방법을 선택합니다. Inline Style Sheet HTML 태그의 style 속성에 CSS 코드를 넣습니다. Internal Style Sheet HTML 문서 안의 과 안에 CSS 코드를 넣습니다. Linking Style Sheet 별도의 CSS 파일을 만들고 HTML 문서와 연결합니다.

CSS / Tutorial / !important

CSS / Tutorial / !important

CSS에서 !important는 특정 스타일 규칙이 다른 모든 스타일 규칙보다 우선 적용되도록 강제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키워드는 일반적인 스타일 우선 순위를 무시하고, 해당 스타일이 다른 어떤 스타일보다도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도록 합니다.

CSS / Tutorial / 링크 꾸미는 방법

CSS / Tutorial / 링크 꾸미는 방법

링크는 a 태그로 만듭니다. 따라서 링크는 a 태그를 선택하여 꾸밉니다. 예를 들어 다음은 링크의 색을 빨간색으로 만듭니다.

CSS / Tutorial / 구분선 만드는 방법

CSS / Tutorial / 구분선 만드는 방법

글의 완급 조절, 내용 전환 등을 위해 구분선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선은 여러 가지 방식으로 만들 수 있는데, 보기 좋게 꾸미는 것은 CSS로 합니다. 아래는 div 태그에 모양을 입혀서 구분선을 만드는 몇 가지 예제입니다.

CSS / Tutorial / 선택자(Selector)

CSS / Tutorial / 선택자(Selector)

CSS에서 선택자(CSS Selector)는 HTML 문서의 요소를 선택하고 스타일을 적용할 때 사용되는 구문입니다. 선택자는 특정 요소를 대상으로 스타일을 지정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다양한 방법으로 요소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CSS / Tutorial / position의 값이 fixed일 때 가운데 정렬하는 방법

CSS / Tutorial / position의 값이 fixed일 때 가운데 정렬하는 방법

position의 fixed를 이용하여 요소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상단에 고정되는 메뉴바를 만들 때 사용합니다. 그런데, fixed를 하면 요소가 한쪽으로 치우칩니다. 만약 가운데에 위치시키고 싶다면 어떻게 할까요? transform 속성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CSS / Tutorial / 문자열 자르는 방법

CSS / Tutorial / 문자열 자르는 방법

웹페이지에 출력하는 문자열의 길이는 서버단에서 조절하는 게 보통입니다. 하지만, 어떤 경우에는 그게 불가능할 수 있습니다. 이미 전송 받은 문자열을 잘라야 하는 상황이 생길 수 있습니다. CSS를 이용하여 문자열의 일부만 보여주는 방법을 소개해드립니다.

CSS / Tutorial / 마우스 호버 효과 / 서서히 길어지는 선 만드는 방법

CSS / Tutorial / 마우스 호버 효과 / 서서히 길어지는 선 만드는 방법

마우스를 올리면 선이 그려지는 효과를 만들어봅니다. 다음과 같이 사각형을 만듭니다. :before를 이용하여 선이 시작하는 위치를 정합니다. position 속성으로 선 위에 선을 그릴 수 있도록 설정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