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S / font-family / 글꼴 정하는 속성

개요

font-family는 글꼴을 설정하는 속성이다.

  • 기본값 : 웹브라우저의 기본 글꼴
  • 상속 : Yes
  • 애니메이션 : No
  • 버전 : CSS Level 1

문법

font-family: font | initial | inherit
  • font : family-name 또는 generic-family
  • initial : 기본값으로 설정
  • inherit : 부모 요소의 속성값을 상속받음

font

family-name은 글꼴 이름이다. 글꼴 이름에 띄어쓰기가 있으면 작은 따옴표 또는 큰 따옴표로 감싼다.

generic-family는 글꼴 유형이다. 글꼴 유형은 다음과 같다.

  • serif : 삐침 있는 명조 계열의 글꼴
  • sans-serif : 삐침 없고 굵기가 일정한 고딕 계열의 글꼴
  • monospace : 글자 폭과 간격이 일정한 글꼴
  • cursive : 손으로 쓴 것 같은 필기 계열의 글꼴
  • fantasy : 화려한 글꼴

여러 개의 글꼴 설정

글꼴을 여러 개 설정할 때는 쉼표로 구분한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했다면...

font-family: Georgia, "Times New Roman", serif;
  1. Georgia 글꼴을 찾는다.
  2. Georgia 글꼴이 있다면 사용하고, 없다면 Times New Roman 글꼴을 찾는다.
  3. Times New Roman 글꼴이 있다면 사용하고, 없다면 웹브라우저에서 설정한 명조 계열의 글꼴을 사용한다.

글꼴은 접속한 기기에 설치되어 있는 글꼴을 사용한다. 따라서 CSS로 설정한 글꼴이 없을 수도 있으므로, 마지막은 generic-family로 정해두는 것이 좋다.

어떤 기기로 접속해도 같은 글꼴을 보여주고 싶다면, 웹폰트를 사용한다.

영어와 한글 글꼴을 다르게 하기

글꼴을 여러 개 설정했을 때, 첫 번째 글꼴로 표현할 수 없는 것만 다음 글꼴을 사용한다. 따라서 한글이 없는 글꼴을 앞에 두고, 한글 글꼴을 뒤에 두면 한글과 영어가 다른 글꼴로 표현된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하면 한글은 맑은 고딕, 나머지는 Georgia로 표현된다.

font-family: Georgia, "Malgun Gothic", serif;

예제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title>CSS</title>
    <style>
      .a { font-family: Georgia, serif; }
      .b { font-family: serif; }
      .c { font-family: sans-serif; }
      .d { font-family: monospace; }
      .e { font-family: cursive; }
      .f { font-family: fantasy; }
      .g { font-family: Georgia, "맑은 고딕", serif; }
    </style>
  </head>
  <body>
    <p class="a">font-family: Geogia;</p>
    <p class="b">font-family: serif;</p>
    <p class="c">font-family: sans-serif;</p>
    <p class="d">font-family: monospace;</p>
    <p class="e">font-family: cursive;</p>
    <p class="f">font-family: fantasy;</p>
    <p class="g">한글은 맑은 고딕, 나머지는 Georgia</p>
  </body>
</html>

Related Posts

CSS / 이미지 위에 텍스트 정가운데에 넣기

CSS / 이미지 위에 텍스트 정가운데에 넣기

사진을 강조하는 블로그나 사이트의 경우 이미지 위에 텍스트를 놓는 경우가 많습니다. 텍스트가 보이게 놓기도 하고, 마우스를 올리면 보이게 하기도 합니다. 텍스트를 이미지 위에 어떻게 넣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방법 1 다음은 이미지와 텍스트가 있는 간단한 문서입니다. 이미지는 파란색의 사각형이고, 구분하기 쉽도록 텍스트의 배경색은 노란색으로 했습니다.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title>CSS</title> <style> .jb-wrap { width: 40%; margin: 10px auto; border: 1px solid ...

CSS / 도형 만들기 / 마름모

CSS / 도형 만들기 / 마름모

CSS로 마름모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마름모는 삼각형을 두 개 붙여서 만들 것이므로, 삼각형을 만드는 방법을 먼저 보시는 게 좋습니다. HTML 문서에 다음과 같이 내용이 없는 요소를 하나 넣습니다. <div class="rhombus"></div> 크기를 0으로 한 후, border 속성을 이용하여 삼각형을 만듭니다. position: relative;는 나머지 반쪽의 위치를 잡기 위해 넣은 것입니다. .rhombus { width: 0px; height: 0px; ...

CSS / font-weight / 글자 굵기 정하는 속성

CSS / font-weight / 글자 굵기 정하는 속성

개요 font-weight로 글자의 굵기를 정한다. 기본값 : normal 상속 : Yes 애니메이션 : Yes 버전 : CSS Level 1 문법 font-weight: normal | bold | bolder | lighter | number | initial | inherit normal : 보통 굵기이다. 숫자 400과 같다. bold : 굵은 굵기이다. 숫자 700과 같다. bolder : 상속된 값보다 굵은 굵기다. lighter : 상속된 값보다 얇은 굵기이다. number : ...

CSS / 동영상을 배경으로 사용하는 방법

CSS / 동영상을 배경으로 사용하는 방법

동영상을 배경으로 사용하면 좀 더 다이나믹하고 화려하게 웹페이지를 꾸밀 수 있습니다. 단, 네트워크 속도가 느리거나 컴퓨터 사양이 좋지 않거나 구 버전의 웹브라우저를 사용하면 문제가 생길 수 있으니, 신중히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제로 사용한 동영상 예제에서 사용한 동영상은 Pixabay에서 구했습니다. 상업적으로 사용 가능하고, 출처 표시를 하지 않아도 됩니다. https://pixabay.com/videos/network-loop-energy-technology-12716/ 전체 코드와 결과 다음은 간단하게 만든 예제의 ...

CSS / 반응형 레이아웃 만들기

CSS / 반응형 레이아웃 만들기

반응형 웹디자인 웹사이트의 레이아웃을 만들 때 방문자가 사용하는 모니터의 화면 해상도를 고려해야 합니다. 너무 크게 가로폭을 만들면 작은 해상도의 모니터로 접속했을 때 가로 스크롤이 생겨 컨텐츠를 보는 게 불편하기 때문입니다. 특히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 모바일 기기는 화면이 작기 때문에 가독성에 더욱 신경써야 합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 중의 하나가 반응형 웹디자인입니다. 해상도에 따라 ...

CSS / 순서 있는 목록에서 숫자 또는 내용만 굵게 만드는 방법

CSS / 순서 있는 목록에서 숫자 또는 내용만 굵게 만드는 방법

순서 있는 목록은 ol 태그로 만듭니다. 간단한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title>CSS</title> <style> body { font-size: 40px; } ...

CSS / 고정형 레이아웃 만들기

CSS / 고정형 레이아웃 만들기

레이아웃을 만드는 방법 웹사이트의 레이아웃을 만드는 방법은 크게 두가지가 있습니다. 첫번째는 표(<table>)을 이용하는 것이고, 두번째는 CSS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2000년대 초까지만해도 CSS 보다는 <table>을 주로 사용했습니다. 하지만 <table>을 이용하는 것은 컨텐츠와 디자인의 분리 원칙에도 맞지 않고, 사이드바의 위치를 바꾸는 등 수정을 해야 할 때 편집해야할 코드가 많다는 단점이 있어 요즘에는 거의 사용하지 않습니다. 레이아웃을 ...

CSS / 체크박스(checkbox)와 라벨(label) 높이 조정하기

CSS / 체크박스(checkbox)와 라벨(label) 높이 조정하기

체크박스와 라벨 체크박스(checkbox)와 라벨(label)을 나란히 놓았을 때, 높이가 잘 맞지 않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높이를 조정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 중 하나는 position 속성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position 속성의 값을 relative로 정한 후 top 속성의 값을 적절히 정하면 됩니다. checkbox를 옮길 수도 있고 label을 옮길 수도 있습니다. 예제 다음은 높이를 조정하는 간단한 예제입니다. 첫 번째 체크박스와 라벨은 아무런 ...

CSS / radial-gradient - 원형 그라데이션 효과 만들기

CSS / radial-gradient - 원형 그라데이션 효과 만들기

radial-gradient radial-gradient로 원형 그라데이션 효과를 만들 수 있습니다. CSS3에서 추가된 것으로,인터넷 익스플로러는 버전 10 이상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문법 radial-gradient( shape size at position, color1, color2, ..., color3 ) shape : 원 모양인지 타원 모양인지 정합니다. size : 크기를 정합니다. position : 중심의 위치를 정합니다. color : 색을 정합니다. 아래의 예제로 하나씩 알아보겠습니다. 예제 1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title>CSS</title> <style> div.jb { margin: ...

CSS / Grid / grid-column-gap, grid-row-gap, grid-gap

CSS / Grid / grid-column-gap, grid-row-gap, grid-gap

그리드 아이템 사이의 간격을 정하는 속성은 grid-row-gap, grid-column-gap, grid-gap입니다. grid-column-gap은 열 사이의 간격, grid-row-gap은 행 사이의 간격, grid-gap은 행과 열의 간격을 동시에 정할 수 있는 축약형입니다. 아래는 아이템 사이에 간격이 없는 간단한 그리드입니다.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title>CSS</title> <styl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