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S / background-size / 배경 이미지의 가로 크기와 세로 크기를 정하는 속성

개요

background-size로 배경 이미지의 가로 크기와 세로 크기를 정할 수 있습니다.

  • 기본값 : auto
  • 상속 : No
  • 애니메이션 : Yes
  • 버전 : CSS Level 3

문법

background-size: auto | length | cover | contain | initial | inherit
  • auto : 이미지 크기를 유지합니다.
  • length : 값을 두 개 넣으면 첫번째 값이 가로 크기, 두번째 값이 세로 크기입니다. 값을 한 개 넣으면 가로 크기이며, 세로 크기는 원본 이미지의 가로 세로 비율에 맞게 자동으로 정해집니다. 백분율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 cover : 배경을 사용하는 요소를 다 채울 수 있게 이미지를 확대 또는 축소합니다. 가로 세로 비율을 유지합니다.
  • contain : 배경을 사용하는 요소를 벗어나지 않는 최대 크기로 이미지를 확대 또는 축소합니다. 가로 세로 비율을 유지합니다.
  • initial : 기본값으로 설정합니다.
  • inherit : 부모 요소의 속성값을 상속받습니다.

백분율로 크기를 정할 때의 기준은 이미지 크기가 아니라 배경을 사용하는 요소의 크기입니다.

예제

각 속성값에 따라 배경 이미지 크기가 어떻게 적용되는지 보여주는 간단한 예제입니다. 사용한 이미지의 크기는 400x300입니다.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title>CSS</title>
    <style>
      body {
        margin: 0px;
      }
      p {
        text-align: center;
      }
      div {
        margin: 20px;
        height: 400px;
        border: 1px solid #cccccc;
        background-image: url( "images/img-01.png" );
        background-repeat: no-repeat;
        background-position: center center;
      }
      .a {
        background-size: auto;
      }
      .b {
        background-size: 300px 90%;
      }
      .c {
        background-size: cover;
      }
      .d {
        background-size: contain;
      }
    </style>
  </head>
  <body>
    <p><code>background-size: auto</code></p>
    <div class="a"></div>
    <p><code>background-size: 300px 90%</code></p>
    <div class="b"></div>
    <p><code>background-size: cover</code></p>
    <div class="c"></div>
    <p><code>background-size: contain</code></p>
    <div class="d"></div>
  </body>
</html>

브라우저 지원

  • Chrome : 4.0+
  • Firefox : 4.0+
  • Internet Explorer : 9.0+
  • Opera : 10.5+
  • Safari : 4.1+

Related Posts

CSS / clip / 요소의 특정 부분만 보이게 하는 속성

CSS / clip / 요소의 특정 부분만 보이게 하는 속성

개요 clip 속성으로 요소의 특정 부분만 나오도록 할 수 있습니다. 기본값 : auto 상속 : No 애니메이션 : Yes 버전 : CSS Level 2 문법 clip: auto | shape | initial | inherit auto : 요소의 모든 부분이 나옵니다. shape : 특정 부분이 나오도록 합니다. initial : 기본값으로 설정합니다. inherit : 부모 요소의 속성값을 상속받습니다. 특정 부분만 나오게 할 때는 다음과 같은 코드로 나오는 ...

CSS / 문법

CSS / 문법

문법 다음은 가장 간단한 CSS 코드입니다. h1 { color: red } h1, color, red 세 개의 단어가 있는데 각각 선택자, 속성, 값이라고 합니다. 선택자(selector) : 무엇을 꾸밀지 정합니다. h1은 h1 요소를 꾸미겠다는 뜻입니다. 속성(property) : 어떤 모양을 꾸밀지 정합니다. color는 색을 꾸미겠다는 뜻입니다. 값(value) : 어떻게 꾸밀지 정합니다. red는 빨간색으로 만들겠다는 뜻입니다. 즉, CSS 코드는 다음처럼 구성됩니다. selector ...

CSS / display 속성으로 표 만들기 - table, table-row, table-cell

CSS / display 속성으로 표 만들기 - table, table-row, table-cell

display 속성값 중 표와 관련된 값들 display 속성값으로 table, table-row, table-cell 등을 사용해서 요소를 표(table)처럼 표현할 수 있습니다. 표처럼 보이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속성값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table : <table> 요소처럼 표현합니다. table-caption : <caption> 요소처럼 표현합니다. table-column-group : <colgroup> 요소처럼 표현합니다. table-header-group : <thead> 요소처럼 표현합니다. table-footer-group : <tfoot> 요소처럼 표현합니다. table-row-group : <tbody> 요소처럼 표현합니다. table-cell ...

CSS / ul, ol 가운데 정렬하는 방법

CSS / ul, ol 가운데 정렬하는 방법

목록의 내용만 가운데 정렬하기 목록 자체가 아니라 목록 안의 내용만 가운데 정렬할 때는 text-align 속성을 사용합니다. ul { text-align: center; } 목록 요소 자체를 가운데 정렬하기 목록 요소 자체를 가운데 정렬할 때는 margin 속성을 사용합니다. ul, ol의 기본 가로 크기는 100%이므로, 가로 크기를 지정해줘야 가운데로 정렬됩니다. ul { width: 300px; margin-left: auto; ...

CSS / 짧은 밑줄 만들기

CSS / 짧은 밑줄 만들기

짧은 밑줄 만들기 밑줄은 보통 text-decoration이나 border 속성으로 만듭니다. 그런데 그렇게 만든 밑줄은 선택한 요소 전체에 적용됩니다. 즉, 요소가 길면 밑줄도 길게 만들어지고, 요소가 짧으면 밑줄도 짧게 만들어집니다. 요소보다 짧은 밑줄을 만드는 방법은 :after 선택자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요소 뒤에 선을 만들고 위치와 길이를 정해주면 됩니다. 예를 들어 h1 요소에 짧은 밑줄을 만들고 싶다면 다음과 ...

CSS / position의 값이 fixed일 때 가운데 정렬하는 방법

CSS / position의 값이 fixed일 때 가운데 정렬하는 방법

position의 fixed를 이용하여 요소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상단에 고정되는 메뉴바를 만들 때 사용합니다. 그런데, fixed를 하면 요소가 한쪽으로 치우칩니다. 만약 가운데에 위치시키고 싶다면 어떻게 할까요? transform 속성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가운데에 위치한 두 요소가 있는 간단한 예제입니다.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

CSS / border-collapse / 표의 테두리와 셀의 테두리 사이의 간격 처리 방식 정하는 속성

CSS / border-collapse / 표의 테두리와 셀의 테두리 사이의 간격 처리 방식 정하는 속성

개요 border-collapse는 표(table)의 테두리와 셀(td)의 테두리 사이의 간격을 어떻게 처리할 지 정합니다. 기본값 : separate 상속 : Yes 애니메이션 : No 버전 : CSS Level 2 문법 border-collapse: separate | collapse | initial | inherit separate : 표(table)의 테두리와 셀(td)의 테두리 사이에 간격을 둡니다. collapse : 표(table)의 테두리와 셀(td)의 테두리 사이의 간격을 없앱니다. 겹치는 부분은 한 줄로 나타냅니다. initial : 기본값으로 설정합니다. inherit ...

CSS / 애니메이션 / transition / 속성을 서서히 변화시키는 속성

CSS / 애니메이션 / transition / 속성을 서서히 변화시키는 속성

transition transition은 속성을 서서히 변화시키는 속성입니다. transition-property, transition-duration, transition-timing-function, transition-delay 속성을 한 번에 정합니다. IE는 버전 10부터 지원합니다. 문법 transition: property timing-function duration delay | initial | inherit property : transition을 적용시킬 속성을 정합니다. transition-property를 참고하세요. timing-function : transition의 진행 속도를 정합니다. transition-timing-function를 참고하세요. duration : transition의 총 시간을 정합니다. transition-duration을 참고하세요. delay : transition의 시작을 연기합니다. transition-delay를 참고하세요. initial : 기본값으로 설정합니다. inherit : 부모 요소의 속성값을 상속받습니다. 예제 체크박스에 ...

CSS / letter-spacing, word-spacing / 글자 사이 간격, 단어 사이 간격

CSS / letter-spacing, word-spacing / 글자 사이 간격, 단어 사이 간격

letter-spacing, word-spacing 글자 사이의 간격은 letter-spacing으로, 단어 사이의 간격은 word-spacing으로 정합니다. 값이 커지면 간격이 커집니다. 값에는 음수를 넣을 수 있습니다. 음수를 값으로 하는 경우 글자가 겹칠 수 있습니다. 예제 값의 변화에 따른 간격의 변화를 보여주는 예제입니다. 글자 사이의 간격을 변화시키면 단어 사이의 간격도 변합니다. 단어 사이의 간격을 변화시켜도 글자 사이의 간격은 변하지 않습니다.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

CSS / 양쪽 배분(균등 분할) 정렬 방법

CSS / 양쪽 배분(균등 분할) 정렬 방법

문단 정렬을 양끝으로 꽉차게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한글에서는 배분 정렬, 워드에서는 균등 분할이라고 합니다. 일반적인 문단에서는 거의 사용하지 않고, 표에서 제목을 넣을 때 많이 사용합니다. 하지만 CSS에는 그러한 정렬이 없습니다. text-align 속성의 justify가 있지만, 그건 빈 공간을 늘려서 양 끝으로 맞추는 게 아닙니다. 간단한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