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S / 구글 웹폰트 사용하는 방법

구글에서 많은 웹폰트를 제공하고 있다. 어떻게 사용하는지, IE를 지원하는 방법은 무엇인지 알아본다.

글꼴 선택하고 코드 얻기

  • 구글 웹폰트에 접속한다. 한글 웹폰트가 필요하다면 Languages를 Korean으로 설정한다.

  • + 버튼을 클릭하여 글꼴을 선택한다. 여러 개를 선택해도 된다.

  • 아래에 있는 검은 색 바를 클릭한다.

  • 구글 웹폰트를 사용할 수 있는 코드가 있는데, 기본 스타일 외에 다른 스타일을 선택하거나 한글을 사용하려면 CUSTOMIZE를 클릭한다.

  • 필요한 스타일을 체크한다.

  • 이제 코드를 복사한다. STANDARD와 @IMPORT 중 고를 수 있다.

사용하기

  • 다음은 위에서 선택한 나눔 고딕을 사용한 간단한 예제이다.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title>CSS</title>
    <link href="https://fonts.googleapis.com/css?family=Nanum+Gothic:400,700,800&amp;subset=korean" rel="stylesheet">
    <style>
      p {
        font-family: "Nanum Gothic", sans-serif;
        font-size: 23px;
      }
      p.a {
        font-weight: 400;
      }
      p.b {
        font-weight: 700;
      }
      p.c {
        font-weight: 800;
      }
      p.d {
        font-weight: bold;
      }
    </style>
  </head>
  <body>
    <p class="a">400 : Lorem Ipsum Dolor 하늘 바다 시나브로</p>
    <p class="b">700 : Lorem Ipsum Dolor 하늘 바다 시나브로</p>
    <p class="c">800 : Lorem Ipsum Dolor 하늘 바다 시나브로</p>
    <p class="d">bold : Lorem Ipsum Dolor 하늘 바다 시나브로</p>
  </body>
</html>

IE에서 구글 웹폰트를 사용하는 방법

  • IE는 2022년 6월 15일에 지원 종료되었다. Windows 11에는 IE가 없고, Windows 10에서 IE를 사용하려 하면 Edge 설치를 안내하므로,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IE는 무시해도 된다.
  • IE와는 무관하게, 구글 웹폰트를 다운로드 하는 방법은 알아두면 좋다.

구글 웹폰트의 CSS 소스는 다음처럼 되어 있다. woff2 형식의 웹폰트를 사용한다.

@font-face {
  font-family: 'Nanum Gothic';
  font-style: normal;
  font-weight: 400;
  src: local('NanumGothic'), url(https://fonts.gstatic.com/s/nanumgothic/v9/PN_3Rfi-oW3hYwmKDpxS7F_z-7r_xFtIsPV5MbNOyrVj67GNc972x-dpix2LdhN-iTB6aWWhDX3G.0.woff2) format('woff2');
  unicode-range: U+f9ca-fa0b, U+ff03-ff05, U+ff07, U+ff0a-ff0b, U+ff0d-ff19, U+ff1b, U+ff1d, U+ff20-ff5b, U+ff5d, U+ffe0-ffe3, U+ffe5-ffe6;
}

IE는 woff 형식의 글꼴을 지원하므로, IE를 지원하고 싶다면 woff 형식의 글꼴을 다운로드 받아 자신의 서버에 업로드해서 사용해야 한다.

  • google webfonts helper에 접속한다.
  • google webfonts helper는 구글 웹폰트를 다운로드할 수 있게 도와주는 사이트이다. woff 뿐만 아니라 eot, ttf, svg 등도 다운로드할 수 있다.

  • 다운로드하려는 글꼴을 검색하고 클릭한다.

  • 한국어를 나타내야 한다면 korean을 선택한다. 필요한 style도 선택한다.

  • 글꼴을 다운로드 한다.

Related Posts

CSS / Grid / grid-auto-rows

CSS / Grid / grid-auto-rows

그리드에서 열 개수는 grid-template-columns로 정합니다. 그 개수를 넘어가면 행이 바뀌죠. 그리고 높이는 행마다 다르게 정해집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HTML 문서가 있을 때, 첫번째 행의 높이와 다른 행의 높이는 다릅니다.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title>CSS</title> <style> ...

CSS / font-style / 글자 모양 정하는 속성

CSS / font-style / 글자 모양 정하는 속성

개요 font-style은 글자 모양을 정하는 속성으로, 기울임 여부를 정합니다. 기본값 : normal 상속 : Yes 애니메이션 : No 버전 : CSS Level 1 문법 font-style: normal | italic | oblique | initial | inherit normal : 보통 모양입니다. italic : 기울임꼴입니다. oblique : 기울임꼴입니다. initial : 기본값으로 설정합니다. inherit : 부모 요소의 속성값을 상속받습니다. italic은 필기체 느낌으로 기울이고, oblique는 보통 모양을 그대로 기울입니다. 아래의 이미지에서 두번째 줄이 italic, 세번째 ...

CSS / clip / 요소의 특정 부분만 보이게 하는 속성

CSS / clip / 요소의 특정 부분만 보이게 하는 속성

개요 clip 속성으로 요소의 특정 부분만 나오도록 할 수 있습니다. 기본값 : auto 상속 : No 애니메이션 : Yes 버전 : CSS Level 2 문법 clip: auto | shape | initial | inherit auto : 요소의 모든 부분이 나옵니다. shape : 특정 부분이 나오도록 합니다. initial : 기본값으로 설정합니다. inherit : 부모 요소의 속성값을 상속받습니다. 특정 부분만 나오게 할 때는 다음과 같은 코드로 나오는 ...

CSS / Flex / IE에서 flex-basis 오류 해결하는 방법

CSS / Flex / IE에서 flex-basis 오류 해결하는 방법

Flex를 이용하여 다단 배열을 만들려고 합니다. 내용에 상관없이 같은 폭을 가진 다단 배열을 만든다면 flex-basis를 사용하는 게 편합니다. 아래는 Flex를 이용한 간단한 2단 배열입니다. box-sizing의 값을 border-box로 설정하고, flex-basis의 값을 50%로 하면 간단히 만들어집니다.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title>CSS</title> <style> ...

CSS / 순서 있는 목록에서 숫자 또는 내용만 굵게 만드는 방법

CSS / 순서 있는 목록에서 숫자 또는 내용만 굵게 만드는 방법

순서 있는 목록은 ol 태그로 만듭니다. 간단한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title>CSS</title> <style> body { font-size: 40px; } ...

CSS / 표(table) 꾸미기 / 크기 정하기

CSS / 표(table) 꾸미기 / 크기 정하기

표와 셀의 기본 크기 표와 셀의 크기는 정해져있지 않습니다. 내용이 짧으면 작게, 내용이 길면 크게 표와 셀이 만들어집니다. 의도하지 않은 결과가 나오지 않게 하려면 크기를 정하는 게 좋습니다. 크기를 직접 정할 때 사용하는 속성은 width 속성과 height 속성입니다. 다음은 크기를 파악하기 위해 테두리만 추가한 간단한 표입니다. 여기에 스타일을 추가해서 크기를 변경해보도록 하겠습니다. <!doctype html> <html lang="ko"> ...

CSS / background-position / 배경 이미지의 위치를 정하는 속성

CSS / background-position / 배경 이미지의 위치를 정하는 속성

개요 background-position은 배경 이미지의 위치를 정하는 속성입니다. 기본값 : 0% 0% 상속 : No 애니메이션 : Yes 버전 : CSS Level 1 문법 background-position: x-position y-position | initial | inherit x-position y-position : 가로 위치와 세로 위치를 정합니다. initial : 기본값으로 설정합니다. inherit : 부모 요소의 속성값을 상속받습니다. 위치 값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로 위치 값 : left, center, right, 백분율, 길이 세로 위치 ...

CSS / 기초 / !important

CSS / 기초 / !important

CSS는 같은 속성을 여러 번 정의했을 때, 나중에 설정한 값이 적용된다. 만약 나중에 설정한 값이 적용되지 않게 하려면 속성값 뒤에 !important를 붙인다. property: value !important; 예를 들어 다음은 마지막에 설정한 color의 값이 blue이므로, red는 무시하고 문단의 글자색을 파란색으로 만든다. p { color: red; } p { color: blue; } 하지만 다음은 red에 !important가 있으므로 문단의 ...

CSS / 이미지 버튼 만들기

CSS / 이미지 버튼 만들기

버튼을 꾸미는 방법 중의 하나는 이미지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적당한 크기의 버튼을 만듭니다. 그 크기에 맞는 이미지를 배경으로 정합니다. 다음은 32x32 크기의 돋보기 이미지를 이용해서 버튼을 꾸미는 예제입니다.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title>CSS</title> <style> input { ...

CSS / text-decoration / 선으로 텍스트를 꾸미는 속성

CSS / text-decoration / 선으로 텍스트를 꾸미는 속성

개요 text-decoration은 선으로 텍스트를 꾸밀 수 있게 해주는 속성입니다. 기본값 : none 상속 : No 애니메이션 : No 버전 : CSS Level 1 문법 text-decoration: none | line-through | overline | underline | initial | inherit none : 선을 만들지 않습니다. line-through : 글자 중간에 선을 만듭니다. overline : 글자 위에 선을 만듭니다. underline : 글자 아래에 선을 만듭니다. initial : 기본값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