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S / border-radius / 테두리 둥글게 만드는 속성

border-radius

  • border-radius는 테두리를 둥글게 만드는 속성입니다.
  • CSS3에서 정의되었으며, IE는 버전 9부터 지원합니다.(IE8에서 사용하는 방법)
  • 8개의 속성 값을 넣어야 하지만, 값이 같다면 짧게 쓸 수 있습니다.
  • 다음 상자의 테두리를 여러 가지 방식으로 둥글게 만들어보겠습니다.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title>CSS</title>
		<style>
			div {
				box-sizing: border-box;
				width: 200px;
				height: 200px;
				margin: 20px auto;
				background-color: orange;
			}
		</style>
	</head>
	<body>
		<div class="jb"></div>
	</body>
</html>

문법 1

border-radius: top-left-x top-right-x bottom-right-x bottom-left-x / top-left-y top-right-y bottom-right-y bottom-left-y
  • 속성의 값에는 px, % 등 길이 단위를 넣습니다. 그 길이만큼 둥글게 만듭니다.
  • 8군데의 길이를 정해야 하는데, 각 위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예제 1

.jb {
	border-radius: 20px 40px 60px 80px / 80px 60px 40px 20px;
}

위치별로 다른 크기를 넣은 예제입니다. 어느 값이 어디 위치를 가리키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문법 2

border-radius: aa bb / cc dd
  • 대각선 방향으로 값이 같을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다음과 의미가 같습니다.
border-radius: aa bb aa bb / cc dd cc dd

예제 2

.jb {
	border-radius: 40px 80px / 80px 40px;
}

문법 3

border-radius: aa / bb
  • 네 곳이 모두 같을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다음과 의미가 같습니다.
border-radius: aa aa aa aa / bb bb bb bb

예제 3

.jb {
	border-radius: 80px / 40px;
}

문법 4

border-radius: aa bb cc dd
  •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의 값이 같다면 앞에 부분만 쓸 수 있습니다.
  • 다음과 의미가 같습니다.
border-radius: aa bb cc dd / aa bb cc dd

예제 4

.jb {
	border-radius: 20px 40px 60px 80px;
}

문법 5

border-radius: aa bb
  • 다음과 의미가 같습니다.
border-radius: aa bb aa bb / aa bb aa bb

예제 5

.jb {
	border-radius: 40px 80px;
}

문법 6

border-radius: aa
  • 다음과 의미가 같습니다.
border-radius: aa aa aa aa / aa aa aa aa

예제 6

.jb {
	border-radius: 50%;
}

위치별 속성

각 위치를 가리키는 속성이 따로 있습니다. 예를 들어

border-radius: 10px 20px 30px 40px / 40px 30px 20px 10px;

는 다음과 같습니다.

border-top-left-radius: 10px 40px;
border-top-right-radius: 20px 30px;
border-bottom-right-radius: 30px 20px;
border-bottom-left-radius: 40px 10px;

값을 하나만 쓰면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의 값이 같다는 뜻입니다. 예를 들어

border-top-left-radius: 10px;
border-top-right-radius: 20px;
border-bottom-right-radius: 30px;
border-bottom-left-radius: 40px;

는 다음과 같습니다.

border-radius: 10px 20px 30px 40px / 10px 20px 30px 40px;

Related Posts

CSS / white-space / 공백 처리 방법 정하는 속성

CSS / white-space / 공백 처리 방법 정하는 속성

개요 white-space는 스페이스와 탭, 줄바꿈, 자동줄바꿈을 어떻게 처리할지 정하는 속성입니다. 기본값 : normal 상속 : Yes 애니메이션 : No 버전 : CSS Level 1 문법 white-space: normal | nowrap | pre | pre-wrap | pre-line | initial | inherit normal, nowrap, pre, pre-wrap, pre-line : 아래 표 참고 initial : 기본값으로 설정합니다. inherit : 부모 요소의 속성값을 상속받습니다.   스페이스와 탭1 줄바꿈2 자동 줄바꿈3 normal 병합 병합 O nowrap 병합 병합 X pre 보존 보존 X pre-wrap 보존 보존 O pre-line 병합 보존 O 연속된 스페이스와 탭의 처리 방법입니다. 병합은 1개의 ...

CSS / padding - 안쪽 여백, margin - 바깥 여백

CSS / padding - 안쪽 여백, margin - 바깥 여백

여백에는 안쪽 여백과 바깥 여백이 있다. 안쪽 여백은 padding 속성으로, 바깥 여백은 margin 속성으로 정한다. 여백을 정하면 요소의 크기가 바뀔 수 있다. 어떤 기준으로 크기를 정할 지는 box-sizing 속성으로 정한다. 속성값 부여하기 padding과 margin 속성에 값을 부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padding: xx yy zz ww; margin: xx yy zz ww; xx는 위, yy는 오른쪽, zz는 아래, ww는 ...

CSS / 반응형 레이아웃 만들기

CSS / 반응형 레이아웃 만들기

반응형 웹디자인 웹사이트의 레이아웃을 만들 때 방문자가 사용하는 모니터의 화면 해상도를 고려해야 합니다. 너무 크게 가로폭을 만들면 작은 해상도의 모니터로 접속했을 때 가로 스크롤이 생겨 컨텐츠를 보는 게 불편하기 때문입니다. 특히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 모바일 기기는 화면이 작기 때문에 가독성에 더욱 신경써야 합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 중의 하나가 반응형 웹디자인입니다. 해상도에 따라 ...

CSS / background-color / 배경색을 정하는 속성

CSS / background-color / 배경색을 정하는 속성

개요 background-color로 배경의 색을 정합니다. 그 색으로 border와 padding을 포함한 영역을 칠합니다. margin 영역은 칠하지 않습니다. 기본값 : transparent 상속 : No 애니메이션 : Yes 버전 : CSS Level 1 문법 background-color: transparent | color | initial | inherit transparent : 배경색이 없습니다. color : 색을 정합니다. initial : 기본값으로 설정합니다. inherit : 부모 요소의 속성값을 상속받습니다. 예제 1 바깥 여백(margin)은 칠하지 않고, 안쪽 여백(padding)은 칠한다는 것을 ...

CSS / CSS를 HTML에 적용시키는 방법

CSS / CSS를 HTML에 적용시키는 방법

HTML에 CSS를 적용시키는 방법은 세가지가 있다. 각 방법은 장단점이 있으니 상황에 맞게 적절한 방법을 선태한다. Inline Style Sheet HTML 태그의 style 속성에 CSS 코드를 넣는 방법입니다. Internal Style Sheet HTML 문서 안의 <style>과 </style> 안에 CSS 코드를 넣는 방법입니다. Linking Style Sheet 별도의 CSS 파일을 만들고 HTML 문서와 연결하는 방법입니다. 일반적으로 Linking Style Sheet을 기본으로 사용하고, 특정 ...

CSS / overflow / 내용이 요소의 크기를 벗어났을 때 처리 방법 정하는 속성

CSS / overflow / 내용이 요소의 크기를 벗어났을 때 처리 방법 정하는 속성

개요 overflow는 내용이 요소의 크기를 벗어났을 때 어떻게 처리할지를 정하는 속성입니다. 기본값 : visible 상속 : No 애니메이션 : No 버전 : CSS Level 2 문법 overflow: visible | hidden | scroll | auto | initial | inherit visible : 박스를 넘어가도 보여줍니다. hidden : 박스를 넘어간 부분은 보이지 않습니다. scroll : 박스를 넘어가든 넘어가지 않든 스크롤바가 나옵니다. auto : 박스를 ...

CSS / text-shadow / 글자에 그림자 효과를 주는 속성

CSS / text-shadow / 글자에 그림자 효과를 주는 속성

개요 text-shadow는 글자에 그림자 효과를 주는 속성이다. 기본값 : none 상속 : Yes 애니메이션 : Yes 버전 : CSS Level 3 박스에 그림자 효과를 주고 싶다면 box-shadow를 사용한다. 문법 text-shadow: offset-x offset-y blur-radius color | none | initial | inherit offset-x : 그림자의 수평 거리를 정한다. (필수) offset-y : 그림자의 수직 거리를 정한다. (필수) blur-radius : 흐림 정도를 정한다. (선택 : ...

CSS / backface-visibility / 요소의 뒷쪽에서 앞면이 보이게 할지 정하는 속성

CSS / backface-visibility / 요소의 뒷쪽에서 앞면이 보이게 할지 정하는 속성

backface-visibility backface-visibility는 요소의 뒷쪽에서 앞면이 보이게 할지 정하는 속성입니다. 기본값 : visible 상속 : No 애니메이션 : No 버전 : CSS Level 3 문법 backface-visibility: visible | hidden | initial | inherit visible : 보이게 합니다. 기본값입니다. hidden : 보이지 않게 합니다. initial : 기본값으로 설정합니다. inherit : 부모 요소의 속성값을 상속받습니다. 예제 체크박스에 체크하면 박스가 180도 회전합니다. 첫 번째 박스는 앞면이 보이고, 두 번째 박스는 ...

CSS / 마우스 오버 효과 /  이미지 확대

CSS / 마우스 오버 효과 / 이미지 확대

이미지에 마우스를 올렸을 때 이미지가 확대되는 효과를 만들어보겠습니다. 우선 다음과 같이 이미지가 들어간 간단한 HTML 문서를 만듭니다.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title>CSS</title> <style> body { box-sizing: border-box; ...

CSS / box-shadow / 박스에 그림자 효과 만드는 속성

CSS / box-shadow / 박스에 그림자 효과 만드는 속성

개요 box-shadow는 선택한 요소에 그림자 효과를 만들어주는 속성이다. 기본값 : none 상속 : No 애니메이션 : Yes 버전 : CSS Level 3 글자에 그림자 효과를 주고 싶다면 text-shadow를 사용한다. 문법 box-shadow: none | x-position y-position blur spread color | inset | initial | inherit none : 그림자 효과를 없앤다. x-position : 가로 위치이다. 양수면 오른쪽에, 음수면 왼쪽에 그림자가 만들어진다. (필수) y-posi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