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Script / Object / Date / 당월 말일 구하는 방법

다음은 2022년 3월 1일이다.

Date( 2022, 2, 1 )

날짜 자리에 0이 들어가면 전달 말일이다. 즉 다음은 2022년 2월 28일이다.

Date( 2022, 2, 0 )

이를 이용하여 현재 달의 말일을 구할 수 있다. 다음은 오늘 날짜를 출력하는 것이고...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title>JavaScript</title>
    <style>
      body {
        font-family: Consolas, monospace;
        font-size: 20px;
      }
    </style>
  </head>
  <body>
    <script>
      var today = new Date();
      document.write(
        '<p>'
        + today.getFullYear()
        + '-'
        + ( today.getMonth() + 1 )
        + '-'
        + today.getDate()
        + '</p>'
      );
    </script>
  </body>
</html>

다음은 현재 날짜 뒤에 당월 말일을 출력하는 것이다.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title>JavaScript</title>
    <style>
      body {
        font-family: Consolas, monospace;
        font-size: 20px;
      }
    </style>
  </head>
  <body>
    <script>
      var today = new Date();
      document.write(
        '<p>'
        + today.getFullYear()
        + '-'
        + ( today.getMonth() + 1 )
        + '-'
        + today.getDate()
        + '</p>'
      );
      var lastDay = new Date( today.getFullYear(), ( today.getMonth() + 1 ), 0 );
      document.write(
        '<p>'
        + today.getFullYear()
        + '-'
        + ( today.getMonth() + 1 )
        + '-'
        + lastDay.getDate()
        + '</p>'
      );
    </script>
  </body>
</html>

Related Posts

JavaScript / Object / document.URL / 문서의 URL을 반환하는 속성

JavaScript / Object / document.URL / 문서의 URL을 반환하는 속성

.URL .URL 속성으로 문서의 URL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문법 document.URL 예제 문서의 URL을 출력합니다.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title>JavaScript</title> <style> body { font-family: Consolas, monospace; } </style> </head> <body> <script> document.write( "<p>document.URL : " + document.URL + "</p>" ); </script> </body> </html> JavaScript / Object / Location - URL 정보 가져오는 객체

JavaScript / Object / Element.removeAttribute() / 요소의 속성을 제거하는 메서드

JavaScript / Object / Element.removeAttribute() / 요소의 속성을 제거하는 메서드

.removeAttribute() .removeAttribute()는 요소의 속성을 제거하는 메서드입니다. 문법 element.removeAttribute( attributename ) 예를 들어 document.getElementsByTagName( 'h1' ).removeAttribute( 'class' ); 는 문서의 첫번째 h1 요소의 class 속성을 제거합니다. 예제 첫번째 h1 요소의 class 속성을 제거해서 글자색이 검정색이 됩니다.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title>JavaScript</title> <style> body { font-family: Consolas, monospace; } .abc { color: red; } </style> </head> <body> <h1 class="abc">Lorem ...

JavaScript / Object / Element.setAttribute() / 요소의 속성 값을 정하는 메서드

JavaScript / Object / Element.setAttribute() / 요소의 속성 값을 정하는 메서드

.setAttribute() .setAttribute()는 선택한 요소(element)의 속성(attribute) 값을 정합니다. 문법 element.setAttribute( 'attributename', 'attributevalue' ) attributename에는 속성 이름을, attributevalue에는 속성값을 넣습니다. 예를 들어 document.getElementById( 'xyz' ).setAttribute( 'title', 'This is title' ) id 값이 xyz인 요소의 title 속성을 This is title로 정합니다. 만약 이미 속성값이 존재한다면 그 값을 지우고 새 값을 적용합니다. 예제 id 값이 abc인 요소의 href 속성값을 변경하는 예제입니다. <!doctype html> <html lang="ko"> ...

JavaScript / 조건문 / if, else if, else

JavaScript / 조건문 / if, else if, else

특정 조건 만족 시 어떤 작업을 수행하고 싶을 때 사용하는 것이 if, else if, else입니다. 문법 if ( condition1 ) { statement1 } condition1을 만족하면 statement1을 실행합니다. if ( condition1 ) { statement1 } else { statement2 } condition1을 만족하면 statement1을 실행하고, 만족하지 않으면 statement2를 실행합니다. if ( condition1 ) { statement1 } else if ( ...

JavaScript / 함수 / isNaN() / 매개변수가 숫자인지 검사하는 함수

JavaScript / 함수 / isNaN() / 매개변수가 숫자인지 검사하는 함수

isNaN() isNaN() - 매개변수가 숫자인지 검사하는 함수입니다.(NaN은 Not a Number입니다.) 문법 isNaN( value ) value : 검사할 값을 입력합니다. 매개변수가 숫자가 아니면 true, 숫자이면 false를 반환합니다. 예제 123.123은 숫자이므로 false를 반환합니다. '123.123'은 따옴표로 감쌌지만, 숫자로 취급하여 false를 반환합니다. 'Not a Number'는 숫자가 아니므로 true를 반환합니다. 123*123은 숫자이므로 false를 반환합니다. '123*123'은 따옴표 안에 문자가 있으므로 숫자가 아닌 것으로 취급하여 true를 반환합니다. <!doctype html> <html ...

JavaScript / Object / String.toUpperCase(), String.toLowerCase()

JavaScript / Object / String.toUpperCase(), String.toLowerCase()

.toUpperCase() 문법 .toUpperCase()는 대문자로 변환하는 메서드이다. 예를 들어 다음은 ABC를 반환한다. 'abc'.toUpperCase() 예제 1 - 대문자로 변환하여 출력 문자열 Aaa를 대문자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title>JavaScript</title> <style> * { font-family: ...

JavaScript / Object / String.indexOf(), String.lastIndexOf() / 특정 문자열이 있는 위치를 반환하는 메서드

JavaScript / Object / String.indexOf(), String.lastIndexOf() / 특정 문자열이 있는 위치를 반환하는 메서드

.indexOf() .indexOf()는 특정 문자열이 처음으로 나타나는 위치를 반환하는 메서드입니다. 문법 string.indexOf( value, start ) value : 필수 요소입니다. 찾으려는 문자열을 넣습니다. start : 선택 요소입니다. 검색을 시작할 인덱스 값입니다. 입력하지 않으면 처음부터 검색합니다. 대소문자를 구분합니다. 찾는 문자열이 없는 경우 -1을 반환합니다. 예제 'ABCABC'.indexOf( 'A' ) 처음 나오는 A의 인덱스의 값인 0을 반환합니다. 'ABCABC'.indexOf( 'A', 1 ) 인덱스 1 이후에 처음 나오는 A의 ...

JavaScript / 연산자 / 비교 연산자

JavaScript / 연산자 / 비교 연산자

변수의 값을 어떤 값 또는 다른 변수와 비교할 때 사용하는 것이 비교 연산자(Cpmparison Operator)입니다. 비교 연산자는 8가지가 있는데, 각 연산자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 ==는 '같다'입니다. 변수 타입과 상관없이 값이 같으면 참입니다. 즉 5 == 5 도 참이고 '5' == 5 도 참입니다. != !=는 '같지 않다'입니다. === ===는 '엄격하게 같다'입니다. '엄격하게'의 의미는 변수 타입까지 고려한다는 것입니다. 변수의 값 뿐 아니라 ...

JavaScript / Object / Math.floor(), Math.ceil(), Math.round()

JavaScript / Object / Math.floor(), Math.ceil(), Math.round()

Math.floor() Math.floor()는 어떤 수보다 크지 않은 최대의 정수를 반환합니다. 문법 Math.floor( Number ) Number에는 숫자가 들어갑니다. 예제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title>JavaScript</title> <style> body { font-family: Consolas, monospace; ...

JavaScript / 연산자 / typeof

JavaScript / 연산자 / typeof

typeof 연산자 typeof는 변수의 데이터 타입을 반환하는 연산자입니다. 문법 typeof variable variable에는 데이터 또는 변수가 들어갑니다. 괄호를 사용해도 됩니다. typeof(variable) 반환되는 값은 다음과 같습니다. undefined : 변수가 정의되지 않거나 값이 없을 때 number : 데이터 타입이 수일 때 string : 데이터 타입이 문자열일 때 boolean : 데이터 타입이 불리언일 때 object : 데이터 타입이 함수, 배열 등 객체일 때 function : 변수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