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Script / 조건문 / switch

가장 기본적인 조건문은 if입니다. 하지만 조건식에서 비교할 값이 많다면 코드가 길어지고 가독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럴 땐 switch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문법

switch ( condition ) {
  case value1:
    statement1;
    break;
  case value2:
    statement2;
    break;
  ...
  default:
    statement3;
}

condition의 값이 value1이면 statement1을, value2면 statement2를, 그 어느 것도 아니라면 default가 적용되어 statement3을 실행하라는 뜻입니다.

순차적으로 값을 비교하며, 조건이 맞을 때 break가 있다면 그 이후의 비교는 하지 않습니다. 즉, switch 구문을 바로 끝냅니다. 만약 break가 없다면 조건이 맞아도 그 다음 비교를 계속합니다.

예제

1을 입력하면 'First'를, 2를 입력하면 'Second'를, 3을 입력하면 'Third'를, 이외의 값을 입력했다면 'You did not input 1 or 2 or 3.'을 출력하는 예제입니다.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title>JavaScript Statement | switch</title>
    <script>
      var jb = prompt( 'Enter 1 or 2 or 3', '' );
      switch ( jb ) {
        case '1':
          var jb1 = 'First';
          break;
        case '2':
          var jb1 = 'Second';
          break;
        case '3':
          var jb1 = 'Third';
          break;
        default:
          var jb1 = 'You did not input 1 or 2 or 3.';
      }
    </script>
  </head>
  <body>
    <script>
      document.write( '<p>' + jb1 + '</p>' );
    </script>
  </body>
</html>

Related Posts

JavaScript / 함수 / isNaN() / 매개변수가 숫자인지 검사하는 함수

JavaScript / 함수 / isNaN() / 매개변수가 숫자인지 검사하는 함수

isNaN() isNaN() - 매개변수가 숫자인지 검사하는 함수입니다.(NaN은 Not a Number입니다.) 문법 isNaN( value ) value : 검사할 값을 입력합니다. 매개변수가 숫자가 아니면 true, 숫자이면 false를 반환합니다. 예제 123.123은 숫자이므로 false를 반환합니다. '123.123'은 따옴표로 감쌌지만, 숫자로 취급하여 false를 반환합니다. 'Not a Number'는 숫자가 아니므로 true를 반환합니다. 123*123은 숫자이므로 false를 반환합니다. '123*123'은 따옴표 안에 문자가 있으므로 숫자가 아닌 것으로 취급하여 true를 반환합니다. <!doctype html> <html ...

JavaScript / Object / Array.slice() / 배열의 일부분을 선택하여 새로운 배열을 만드는 속성

JavaScript / Object / Array.slice() / 배열의 일부분을 선택하여 새로운 배열을 만드는 속성

.slice() .slice()는 배열의 일부분을 선택하여 새로운 배열을 만듭니다. 문법 array.slice( start, end ) start와 end에는 숫자가 들어갑니다. 배열의 start에 해당하는 요소부터 end 바로 전의 요소까지를 선택하여 새로운 배열을 만듭니다. 예를 들어 jbAry.slice( 2, 5 ); 는 jbAry 배열의 3번째 요소부터 5번째 요소까지 선택합니다. end에 값이 없으면 해당 배열의 마지막 요소까지 선택합니다. 값이 음수면 마지막 요소를 기준으로 선택합니다. 예제 <!doctype html> <html ...

JavaScript / 함수 / eval() / 문자열을 코드로 인식하게 하는 함수

JavaScript / 함수 / eval() / 문자열을 코드로 인식하게 하는 함수

eval() eval()은 문자열을 코드로 인식하게 하는 함수입니다. 문법 eval( string ) 예를 들어 eval( '2+2' ) 는 문자열 2+2가 아니라 계산한 결과 4입니다. 예제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title>JavaScript</title> <style> body { font-family: Consolas, monospace; } </style> </head> <body> <script> var jb = '2+2'; document.write( '<p>' + jb + '</p>' ); document.write( '<p>' + eval( jb ) + '</p>' ); </script> </body> </html>

JavaScript / 조건문 / switch

JavaScript / 조건문 / switch

가장 기본적인 조건문은 if입니다. 하지만 조건식에서 비교할 값이 많다면 코드가 길어지고 가독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럴 땐 switch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문법 switch ( condition ) { case value1: statement1; break; case value2: statement2; break; ... ...

JavaScript / Object / document.URL / 문서의 URL을 반환하는 속성

JavaScript / Object / document.URL / 문서의 URL을 반환하는 속성

.URL .URL 속성으로 문서의 URL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문법 document.URL 예제 문서의 URL을 출력합니다.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title>JavaScript</title> <style> body { font-family: Consolas, monospace; } </style> </head> <body> <script> document.write( "<p>document.URL : " + document.URL + "</p>" ); </script> </body> </html> JavaScript / Object / Location - URL 정보 가져오는 객체

JavaScript / Object / String.repeat() / 문자열을 반복한 값을 반환하는 메서드

JavaScript / Object / String.repeat() / 문자열을 반복한 값을 반환하는 메서드

.repeat() .repeat() – 문자열을 반복한 값을 반환하는 메서드입니다. IE는 Edge부터 지원합니다. 문법 string.repeat( count ) 예제 'abc'.repeat( 2 ) abc를 두 번 반복한 abcabc를 반환합니다.

JavaScript / 반복문 / while, do - while, for

JavaScript / 반복문 / while, do - while, for

자바스크립트 반복문에는 while, do - while, for 세가지가 있습니다. while 문법 var i = 0; while ( i < 10 ) { // do something i++; } i의 값이 0부터 9일 때까지 실행되고 i의 값이 10이면 실행되지 않고 다음으로 넘어갑니다. i의 값을 증가시키는 i++을 꼭 넣어야 한다는 것에 주의해야 합니다. 만약 i++이 없으면 i의 값이 ...

JavaScript / 함수 / parseFloat(), parseInt() - 문자열을 수로 바꾸는 함수

JavaScript / 함수 / parseFloat(), parseInt() - 문자열을 수로 바꾸는 함수

parseFloat() parseFloat()는 문자열을 실수로 바꾸는 함수입니다. 문법 parseFloat( string ) 수로 시작할 때 그 수를 실수로 바꿉니다. 띄어 쓰기로 여러 개의 수가 있으면 첫번째 수만 바꿉니다. 공백으로 시작하면 공백은 무시합니다. 수가 아닌 문자로 시작하면 NaN을 반환합니다. 예제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title>JavaScript</title> <style> body { font-family: Consolas, monospace; } </style> </head> <body> <script> document.write( "<p>parseFloat( '12.34' ) : " + parseFloat( '12.34' ) + "</p>" ); document.write( "<p>parseFloat( ' 12.34' ...

JavaScript / Object / document.querySelector() / 특정 CSS 선택자를 가진 첫 번째 요소를 선택하는 메서드

JavaScript / Object / document.querySelector() / 특정 CSS 선택자를 가진 첫 번째 요소를 선택하는 메서드

.querySelector() .querySelector()는 CSS 선택자로 요소를 선택하게 해줍니다. 주의할 점은 선택자에 해당하는 첫번째 요소만 선택한다는 것입니다. 문법 document.querySelector( 'selector' ) 예를 들어 document.querySelector( '.xyz' ) 는 클래스 값이 xyz인 첫번째 요소에 접근합니다. 예제 1 클래스 값으로 abc를 갖는 요소 중 첫 번째 요소의 색을 빨간색으로 만듭니다.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title>JavaScript</title> ...

JavaScript / window.open / 새 창 띄우기, 부모 창과 자식 창 사이 값 전달하기

JavaScript / window.open / 새 창 띄우기, 부모 창과 자식 창 사이 값 전달하기

window.open으로 새 창을 띄우고, 부모 창에서 자식 창으로, 자식 창에서 부모 창으로 값을 전달하는 방법을 정리한다. 부모 창이 parent.html, 자식 창이 child.html이다. 새 창 띄우기 문법은 다음과 같다. window.open( url, windowName, windowFeatures ); url : 새 창에 들어갈 문서 주소 windowName : 윈도우 이름 windowFeatures : 새 창의 특성 예를 들어 다음은... window.open( "child.html", "Child", "width=400, height=300, top=50, left=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