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riaDB / 연산자 / 비교 연산자

MariaDB의 비교 연산자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예제로 사용하는 테이블은 아래의 데이터를 가진 T_1이라는 테이블입니다. 각 열의 데이터 형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 C_1 : 정수
  • C_2 : 문자
  • C_3 : 날짜
+----+------+------+------------+
| ID | C_1  | C_2  | C_3        |
+----+------+------+------------+
|  1 |    1 | A    | 2022-01-01 |
|  2 |    2 | B    | 2022-01-02 |
|  3 |    3 | C    | 2022-01-03 |
|  4 | NULL | A    | 2022-01-04 |
|  5 | NULL | NULL | 2022-01-05 |
|  6 |    1 | NULL | NULL       |
|  7 |    2 | B    | 2022-01-07 |
|  8 |    3 | C    | 2022-01-08 |
+----+------+------+------------+

같다

같은 것을 찾을 때는 =를 사용합니다. 데이터 형식이 숫자인 경우 따옴표를 해도 되고 안 해도 되나, 문자인 경우 따옴표를 해야 합니다.

  • C_1의 값이 3이면 1을 반환합니다.
SELECT
  *,
  C_1 = 3 AS R
FROM T_1
;
+----+------+------+------------+------+
| ID | C_1  | C_2  | C_3        | R    |
+----+------+------+------------+------+
|  1 |    1 | A    | 2022-01-01 |    0 |
|  2 |    2 | B    | 2022-01-02 |    0 |
|  3 |    3 | C    | 2022-01-03 |    1 |
|  4 | NULL | A    | 2022-01-04 | NULL |
|  5 | NULL | NULL | 2022-01-05 | NULL |
|  6 |    1 | NULL | NULL       |    0 |
|  7 |    2 | B    | 2022-01-07 |    0 |
|  8 |    3 | C    | 2022-01-08 |    1 |
+----+------+------+------------+------+
  • C_2의 값이 A이면 1을 반환합니다.
SELECT
  *,
  C_2 = 'A' AS R
FROM T_1
;
+----+------+------+------------+------+
| ID | C_1  | C_2  | C_3        | R    |
+----+------+------+------------+------+
|  1 |    1 | A    | 2022-01-01 |    1 |
|  2 |    2 | B    | 2022-01-02 |    0 |
|  3 |    3 | C    | 2022-01-03 |    0 |
|  4 | NULL | A    | 2022-01-04 |    1 |
|  5 | NULL | NULL | 2022-01-05 | NULL |
|  6 |    1 | NULL | NULL       | NULL |
|  7 |    2 | B    | 2022-01-07 |    0 |
|  8 |    3 | C    | 2022-01-08 |    0 |
+----+------+------+------------+------+

같지 않다

같지 않을 것을 찾을 때는 != 또는 <>를 사용합니다.

  • C_2의 값이 존재하고 A가 아니면 1을 반환합니다.
SELECT
  *,
  C_2 != 'A' AS R
FROM T_1
;
+----+------+------+------------+------+
| ID | C_1  | C_2  | C_3        | R    |
+----+------+------+------------+------+
|  1 |    1 | A    | 2022-01-01 |    0 |
|  2 |    2 | B    | 2022-01-02 |    1 |
|  3 |    3 | C    | 2022-01-03 |    1 |
|  4 | NULL | A    | 2022-01-04 |    0 |
|  5 | NULL | NULL | 2022-01-05 | NULL |
|  6 |    1 | NULL | NULL       | NULL |
|  7 |    2 | B    | 2022-01-07 |    1 |
|  8 |    3 | C    | 2022-01-08 |    1 |
+----+------+------+------------+------+

크다 / 작다 / 크거나 같다 / 작거나 같다

크다는 >, 작다는 <, 크거나 같다는 >=, 작거나 같다는 <=를 사용합니다.

  • C_1의 값이 존재하고 2보다 크면 1을 반환합니다.
SELECT
  *,
  C_1 > 2 AS R
FROM T_1
;
+----+------+------+------------+------+
| ID | C_1  | C_2  | C_3        | R    |
+----+------+------+------------+------+
|  1 |    1 | A    | 2022-01-01 |    0 |
|  2 |    2 | B    | 2022-01-02 |    0 |
|  3 |    3 | C    | 2022-01-03 |    1 |
|  4 | NULL | A    | 2022-01-04 | NULL |
|  5 | NULL | NULL | 2022-01-05 | NULL |
|  6 |    1 | NULL | NULL       |    0 |
|  7 |    2 | B    | 2022-01-07 |    0 |
|  8 |    3 | C    | 2022-01-08 |    1 |
+----+------+------+------------+------+
  • C_1의 값이 존재하고 2보다 크거나 같으면 1을 반환합니다.
SELECT
  *,
  C_1 >= 2 AS R
FROM T_1
;
+----+------+------+------------+------+
| ID | C_1  | C_2  | C_3        | R    |
+----+------+------+------------+------+
|  1 |    1 | A    | 2022-01-01 |    0 |
|  2 |    2 | B    | 2022-01-02 |    1 |
|  3 |    3 | C    | 2022-01-03 |    1 |
|  4 | NULL | A    | 2022-01-04 | NULL |
|  5 | NULL | NULL | 2022-01-05 | NULL |
|  6 |    1 | NULL | NULL       |    0 |
|  7 |    2 | B    | 2022-01-07 |    1 |
|  8 |    3 | C    | 2022-01-08 |    1 |
+----+------+------+------------+------+
  • C_1의 값이 존재하고 2보다 작으면 1을 반환합니다.
SELECT
  *,
  C_1 < 2 AS R
FROM T_1
;
+----+------+------+------------+------+
| ID | C_1  | C_2  | C_3        | R    |
+----+------+------+------------+------+
|  1 |    1 | A    | 2022-01-01 |    1 |
|  2 |    2 | B    | 2022-01-02 |    0 |
|  3 |    3 | C    | 2022-01-03 |    0 |
|  4 | NULL | A    | 2022-01-04 | NULL |
|  5 | NULL | NULL | 2022-01-05 | NULL |
|  6 |    1 | NULL | NULL       |    1 |
|  7 |    2 | B    | 2022-01-07 |    0 |
|  8 |    3 | C    | 2022-01-08 |    0 |
+----+------+------+------------+------+
  • C_1의 값이 존재하고 2보다 작거나 같으면 1을 반환합니다.
SELECT
  *,
  C_1 <= 2 AS R
FROM T_1
;
+----+------+------+------------+------+
| ID | C_1  | C_2  | C_3        | R    |
+----+------+------+------------+------+
|  1 |    1 | A    | 2022-01-01 |    1 |
|  2 |    2 | B    | 2022-01-02 |    1 |
|  3 |    3 | C    | 2022-01-03 |    0 |
|  4 | NULL | A    | 2022-01-04 | NULL |
|  5 | NULL | NULL | 2022-01-05 | NULL |
|  6 |    1 | NULL | NULL       |    1 |
|  7 |    2 | B    | 2022-01-07 |    1 |
|  8 |    3 | C    | 2022-01-08 |    0 |
+----+------+------+------------+------+
  • 데이터 형식이 문자인 경우 알파벳순으로 대소를 비교합니다.
SELECT
  *,
  C_2 >= 'B' AS R
FROM T_1
;
+----+------+------+------------+------+
| ID | C_1  | C_2  | C_3        | R    |
+----+------+------+------------+------+
|  1 |    1 | A    | 2022-01-01 |    0 |
|  2 |    2 | B    | 2022-01-02 |    1 |
|  3 |    3 | C    | 2022-01-03 |    1 |
|  4 | NULL | A    | 2022-01-04 |    0 |
|  5 | NULL | NULL | 2022-01-05 | NULL |
|  6 |    1 | NULL | NULL       | NULL |
|  7 |    2 | B    | 2022-01-07 |    1 |
|  8 |    3 | C    | 2022-01-08 |    1 |
+----+------+------+------------+------+
  • 데이터 형식이 날짜인 경우 날짜순으로 대소를 비교합니다.
SELECT
  *,
  C_3 >= '2022-01-03' AS R
FROM T_1
;
+----+------+------+------------+------+
| ID | C_1  | C_2  | C_3        | R    |
+----+------+------+------------+------+
|  1 |    1 | A    | 2022-01-01 |    0 |
|  2 |    2 | B    | 2022-01-02 |    0 |
|  3 |    3 | C    | 2022-01-03 |    1 |
|  4 | NULL | A    | 2022-01-04 |    1 |
|  5 | NULL | NULL | 2022-01-05 |    1 |
|  6 |    1 | NULL | NULL       | NULL |
|  7 |    2 | B    | 2022-01-07 |    1 |
|  8 |    3 | C    | 2022-01-08 |    1 |
+----+------+------+------------+------+

BETWEEN / NOT BETWEEN

BETWEEN A AND B라 하면 A 이상 B 이하의 데이터를 추출합니다.

  • C_1의 값이 존재하고 2 이상 3 이하이면 1을 반환합니다.
SELECT
  *,
  C_1 BETWEEN 2 AND 3 AS R
FROM T_1
;
+----+------+------+------------+------+
| ID | C_1  | C_2  | C_3        | R    |
+----+------+------+------------+------+
|  1 |    1 | A    | 2022-01-01 |    0 |
|  2 |    2 | B    | 2022-01-02 |    1 |
|  3 |    3 | C    | 2022-01-03 |    1 |
|  4 | NULL | A    | 2022-01-04 | NULL |
|  5 | NULL | NULL | 2022-01-05 | NULL |
|  6 |    1 | NULL | NULL       |    0 |
|  7 |    2 | B    | 2022-01-07 |    1 |
|  8 |    3 | C    | 2022-01-08 |    1 |
+----+------+------+------------+------+

NOT BETWEEN A AND B라 하면 A 이상 B 이하가 아닌 데이터를 추출합니다.

  • C_1의 값이 존재하고 2 이상 3 이하가 아니면 1을 반환합니다.
SELECT
  *,
  C_1 NOT BETWEEN 2 AND 3 AS R
FROM T_1
;
+----+------+------+------------+------+
| ID | C_1  | C_2  | C_3        | R    |
+----+------+------+------------+------+
|  1 |    1 | A    | 2022-01-01 |    1 |
|  2 |    2 | B    | 2022-01-02 |    0 |
|  3 |    3 | C    | 2022-01-03 |    0 |
|  4 | NULL | A    | 2022-01-04 | NULL |
|  5 | NULL | NULL | 2022-01-05 | NULL |
|  6 |    1 | NULL | NULL       |    1 |
|  7 |    2 | B    | 2022-01-07 |    0 |
|  8 |    3 | C    | 2022-01-08 |    0 |
+----+------+------+------------+------+

COALESCE

  • 목록 안의 값 중 NULL이 아닌 첫 번째 값을 출력합니다. 모든 값이 NULL이면 NULL을 출력합니다.
SELECT
  C_2,
  C_3,
COALESCE( C_2, C_3 ) AS R
FROM T_1
;
+------+------------+------------+
| C_2  | C_3        | R          |
+------+------------+------------+
| A    | 2022-01-01 | A          |
| B    | 2022-01-02 | B          |
| C    | 2022-01-03 | C          |
| A    | 2022-01-04 | A          |
| NULL | 2022-01-05 | 2022-01-05 |
| NULL | NULL       | NULL       |
| B    | 2022-01-07 | B          |
| C    | 2022-01-08 | C          |
+------+------------+------------+

GREATEST / LEAST

  • GREATEST는 목록에서 가장 큰 값을 선택합니다.
SELECT GREATEST( 1, 2, 3, 4, 5 );
+---------------------------+
| GREATEST( 1, 2, 3, 4, 5 ) |
+---------------------------+
|                         5 |
+---------------------------+
  • 데이터가 문자인 경우 알파벳순으로 크기를 따집니다.
SELECT GREATEST( 'A', 'B', 'C' );
+---------------------------+
| GREATEST( 'A', 'B', 'C' ) |
+---------------------------+
| C                         |
+---------------------------+
  • LEAST는 목록에서 가장 작은 값을 선택합니다.
SELECT LEAST( 1, 2, 3, 4, 5 );
+------------------------+
| LEAST( 1, 2, 3, 4, 5 ) |
+------------------------+
|                      1 |
+------------------------+
  • 데이터가 문자인 경우 알파벳순으로 크기를 따집니다.
SELECT LEAST( 'A', 'B', 'C' );
+------------------------+
| LEAST( 'A', 'B', 'C' ) |
+------------------------+
| A                      |
+------------------------+

IN / NOT IN

IN을 사용하면 여러 값 중 하나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습니다.

  • C_2의 값이 A 또는 C이면 1을 반환합니다.
SELECT
  *,
  C_2 IN ( 'A', 'C' ) AS R
FROM T_1
;
+----+------+------+------------+------+
| ID | C_1  | C_2  | C_3        | R    |
+----+------+------+------------+------+
|  1 |    1 | A    | 2022-01-01 |    1 |
|  2 |    2 | B    | 2022-01-02 |    0 |
|  3 |    3 | C    | 2022-01-03 |    1 |
|  4 | NULL | A    | 2022-01-04 |    1 |
|  5 | NULL | NULL | 2022-01-05 | NULL |
|  6 |    1 | NULL | NULL       | NULL |
|  7 |    2 | B    | 2022-01-07 |    0 |
|  8 |    3 | C    | 2022-01-08 |    1 |
+----+------+------+------------+------+

NOT IN을 사용하면 여러 값에 해당하지 않는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습니다.

  • C_2의 값이 존재하고 A가 아니고 C가 아니면 1을 반환합니다.
SELECT
  *,
  C_2 NOT IN ( 'A', 'C' ) AS R
FROM T_1
;
+----+------+------+------------+------+
| ID | C_1  | C_2  | C_3        | R    |
+----+------+------+------------+------+
|  1 |    1 | A    | 2022-01-01 |    0 |
|  2 |    2 | B    | 2022-01-02 |    1 |
|  3 |    3 | C    | 2022-01-03 |    0 |
|  4 | NULL | A    | 2022-01-04 |    0 |
|  5 | NULL | NULL | 2022-01-05 | NULL |
|  6 |    1 | NULL | NULL       | NULL |
|  7 |    2 | B    | 2022-01-07 |    1 |
|  8 |    3 | C    | 2022-01-08 |    0 |
+----+------+------+------------+------+

INTERVAL

 

IS / IS NOT

 

IS NULL / IS NOT NULL

IS NULL로 값이 NULL인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 C_1의 값이 NULL이면 1을 반환합니다.
SELECT
  *,
  C_1 IS NULL AS R
FROM T_1
;
+----+------+------+------------+---+
| ID | C_1  | C_2  | C_3        | R |
+----+------+------+------------+---+
|  1 |    1 | A    | 2022-01-01 | 0 |
|  2 |    2 | B    | 2022-01-02 | 0 |
|  3 |    3 | C    | 2022-01-03 | 0 |
|  4 | NULL | A    | 2022-01-04 | 1 |
|  5 | NULL | NULL | 2022-01-05 | 1 |
|  6 |    1 | NULL | NULL       | 0 |
|  7 |    2 | B    | 2022-01-07 | 0 |
|  8 |    3 | C    | 2022-01-08 | 0 |
+----+------+------+------------+---+

IS NOT NULL로 값이 NULL이 아닌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 C_1의 값이 NULL이 아니면 1을 반환한다.
SELECT
  *,
  C_1 IS NOT NULL AS R
FROM T_1
;
+----+------+------+------------+---+
| ID | C_1  | C_2  | C_3        | R |
+----+------+------+------------+---+
|  1 |    1 | A    | 2022-01-01 | 1 |
|  2 |    2 | B    | 2022-01-02 | 1 |
|  3 |    3 | C    | 2022-01-03 | 1 |
|  4 | NULL | A    | 2022-01-04 | 0 |
|  5 | NULL | NULL | 2022-01-05 | 0 |
|  6 |    1 | NULL | NULL       | 1 |
|  7 |    2 | B    | 2022-01-07 | 1 |
|  8 |    3 | C    | 2022-01-08 | 1 |
+----+------+------+------------+---+

ISNULL

ISNULL은 값이 NULL이면 1을, NULL이 아니면 0을 반환합니다.

SELECT
  C_1,
  ISNULL( C_1 ) 
FROM T_1
;
+------+---------------+
| C_1  | ISNULL( C_1 ) |
+------+---------------+
|    1 |             0 |
|    2 |             0 |
|    3 |             0 |
| NULL |             1 |
| NULL |             1 |
|    1 |             0 |
|    2 |             0 |
|    3 |             0 |
+------+---------------+
같은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riaDB / 피벗 테이블 만드는 방법

MariaDB / 피벗 테이블 만드는 방법

피벗 테이블은 엑셀의 유용한 기능 중의 하나입니다. 예를 들어 아래의 왼쪽 데이터를 오른쪽 표처럼 만드는 것이 피벗 테이블입니다. 조건에 따라 그룹화시켜서 보기 좋게 데이터를 정리하는 것이라 보면 됩니다. MariaDB에서도 몇 가지 함수를 이용하여 피벗 테이블을 만들 수 있습니다.

MariaDB / 데이터베이스 / 조회, 생성, 삭제, 이름 변경

MariaDB / 데이터베이스 / 조회, 생성, 삭제, 이름 변경

MariaDB에서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는 방법, 생성하는 방법, 삭제하는 방법, 이름을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MariaDB / VIEW

MariaDB / VIEW

VIEW는 가상의 테이블입니다. 실제로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고, 기존의 하나 이상의 테이블을 기반으로 한 쿼리 결과를 테이블처럼 사용할 수 있게 해줍니다. 뷰는 복잡한 쿼리를 단순화하고, 보안 및 데이터 관리에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MariaDB / Query / LEFT JOIN, RIGHT JOIN, INNER JOIN

MariaDB / Query / LEFT JOIN, RIGHT JOIN, INNER JOIN

SQL의 JOIN은 여러 테이블을 한 번에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대표적인 JOIN 방식은 LEFT JOIN, RIGHT JOIN, INNER JOIN이 있습니다. 다음은 세 가지 JOIN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간단한 예제 테이블입니다.

MariaDB / 연산자 / 비교 연산자

MariaDB / 연산자 / 비교 연산자

MariaDB의 비교 연산자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예제로 사용하는 테이블은 아래의 데이터를 가진 T_1이라는 테이블입니다. 각 열의 데이터 형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C_1 : 정수 C_2 : 문자 C_3 : 날짜 +----+------+------+------------+ | ID | C_1 | C_2 | C_3 | +----+------+------+------------+ | 1 | 1 | ...

MariaDB / 사용자 관리하는 방법

MariaDB / 사용자 관리하는 방법

MariaDB에서 사용자를 만드는 방법, 수정하는 방법, 삭제하는 방법, 권한을 부여하고 제거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MariaDB / 샘플 데이터베이스 employees 설치하는 방법

MariaDB / 샘플 데이터베이스 employees 설치하는 방법

데이터베이스를 다루는 공부를 할 때 데이터가 들어있는 데이터베이스가 있으면 좋습니다. 데이터베이스를 직접 만드는 방법도 있지만, 공개된 샘플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면 편합니다. 예를 들어 SQL Server라면 AdventureWorks라는 샘플 데이터베이스를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제공합니다. MariaDB라면 employees를 사용하면 됩니다.

MariaDB / 연산자 / 논리 연산자

MariaDB / 연산자 / 논리 연산자

MariaDB의 논리 연산자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예제로 사용하는 테이블은 아래의 데이터를 가진 T_2이라는 테이블입니다. 각 열의 데이터 형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C_1 : 정수 C_2 : 문자 +----+------+------+ | ID | C_1 | C_2 | +----+------+------+ | 1 | 1 | A | | 2 | ...